반응형 휜다리3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휜다리 경골근위부절골술 의사과실 후방십자인대 파열, 대퇴골 연골 결손 원고는 걷다가 넘어진 후 우측 무릎에 통증이 있어 피고 병원에서 MRI 촬영을 한 결과 무릎 후방십자인대 부분 파열, 대퇴골(넓적다리의 뼈) 내과 관절면의 연골 결손 소견이 관찰되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후방십자인대 파열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한 후 연골결손에 대해 자가골 연골이식술을 시행하기로 하고 약 3개월간 보조구를 착용해 약물치료, 물리치료를 병행했다. 연골 결손 부위 섬유연골 재생 소견 피고는 3개월 뒤 관절경검사를 한 결과 후방십자인대는 대퇴 부착부에 연결된 상태였다. 내측 대퇴골의 연골 결손 부위는 일부 섬유연골로 재생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에 피고는 연골이식술을 시행하지 않고 우측 슬부(무릎) 경골(종아리뼈) 근위부절골술(이 사건 수술)만 시행했다... 2022. 6. 15. 무릎 관절염에 근위경골절골술 후 부작용 이번 사건은 근위경골교정절골술을 받은 뒤 족하수로 인해 영구적인 보행장애가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사가 수술 과정에서 혈관, 신경을 손상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수술에 앞서 수술로 인한 부작용, 후유증에 대해 충분하고 자세하게 설명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 사실 원고는 좌측 무릎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는데요. MRI 검사를 받은 결과 좌측 슬관절(무릎관절)의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착부 파열 및 내측 관절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피고 병원 의료진의 권유에 따라 피고 병원에 입원해 연골판 파열 부위 봉합술과 함께 내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해 근위경골교정절골술 1차 수술을 받았습니다. 근위경골절골술은 휜다리를 교정하고, 관절염 진행속도를 늦추는 수술로 흔히 .. 2021. 8. 24. 무릎 대퇴골 절골술 후 지연유합, 불유합 경골근위부절골술 과정에서 고정나사못을 고정하지 못하고, 수술부위 염증을 초래해 슬관절 후방이완 등을 초래한 사건 사진: pixabay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보행하다가 넘어진 뒤 피고 병원에서 MRI 검사를 한 결과 후방십자인대 부분파열 및 대퇴골 내과 관절면의 연골결손 소견이 관찰되었다. 피고는 3개월간 보조구를 착용해 약물치료, 물리치료를 받은 뒤 검사한 결과 후방십자인대는 대퇴 부착부에 연결된 상태였고, 내측 대퇴골의 연골 결손 부위는 일부 섬유연골로 재생된 소견을 보여 우측 슬부(무릎) 경골(정강뼈) 근위부 절골술만 시행했다. 원고는 그 후 지속적으로 수술부위의 발적과 열감, 부종 및 동통을 호소했다. 원고는 현재 우측 슬관절의 약 11mm 후방이완, 우측 .. 2019. 2.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