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형간염2 간경변, 간암 일으키는 C형간염 치료와 전염경로 C형간염이 위험한 이유 C형간염은 A형간염, B형간염과 달리 예방백신이 없는데 이유는 바이러스 증식 속도가 매우 빠르고 돌연변이 발생률이 높기 때문이다. C형간염 바이러스는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감염되는데 정맥주사 약물 남용, 주사침 찔림손상 등을 통해 C형간염 환자의 혈액에 노출될 수 있다. 또 비위생적인 문신, 피어싱, 네일 케어, 침술행위 등에 의해 전염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등을 함께 사용할 경우 바이러스에 전염될 수 있다. 간경변, 간암 유발 대한간학회에 따르면 C형간염 바이러스에 한번 감염되면 70% 이상이 만성으로 진행되며, 이중 30~40%가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60세 이상이면 간암의 발생 위험이 급격하게 높아.. 2022. 11. 26. 주사액, 수액 재사용해 C형 간염 집단발생 주사액, 수액 재사용해 C형 간염 집단발생 이번 사건의 의원의 의사, 간호사가 환자들에게 자가혈치료술, 근막동통주사, 신경차단술 등을 하면서 동일한 생리식염수 수액백, 주사제제 바이알에서 수액 및 주사액을 여러 번 뽑아 여러 환자들에게 주사하는 과정에서 70여명에게 C형 간염을 초래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의사인 피고인 A는 의원에서 환자들을 상대로 통증치료 명목으로 자가혈 치료술, 생리식염수에 국소마취제 리도카인, 스테로이드 제제 등을 혼합해 통증 부위에 주사하는 근막동통주사, 신경차단술, 인대강화주사 등의 시술을 해 왔습니다. 간호사인 피고인 B는 피고인 A의 시술을 보조하거나 스스로 위와 같은 시술을 했습니다. 이런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이용해 주사제제를 주입할 경우 시술 과정에서 C형 간염과 같.. 2021. 4.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