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성형수술 불만 말조심 안 하면 모욕죄 처벌 성형외과 의사 모욕죄 판결 사건성형외과에서 성형 시술을 받은 뒤 마음에 들지 않자 네이버 온라인 카페에 자신을 시술한 병원과 시술 의사의 실명을 공개하고, 시술한 의사를 똥손이라고 표현했다면 모욕죄가 성립할까? 아래 사례는 성형외과에서 얼굴 성형을 한 뒤 수술에 대한 불만으로 온라인에서 병원과 의사 실명을 공개하며 담당 의사를 모욕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사안이다.  피고인 A에 대한 검사의 공소사실 요지자영업자인 피고인 A은 자신의 얼굴 성형(눈 밑 지방 재배치) 시술을 담당했던 성형외과 의사 S에 대해 3월 21일 S가 근무하는 병원에 찾아가 수술에 대한 불만을 표시했다. 그리고 3월 24일부터 4월 4일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개설된 B 카페, C 카페에서 ‘원장이라는 사람의 입에서 저런 실습생들이나 .. 2024. 5. 3.
담낭염 복통 증상, 수술 부작용, 환자 유의사항 담낭염 증상, 수술 과정 담관 절제 의료사고 사례담낭염은 담낭(쓸개) 안에 담즙이 응고되어 형성된 담석이 담즙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폐색을 일으켜 나타나는 담석증으로 인해 담낭에 염증이 생긴 질환을 의미한다. 담낭염의 90% 이상은 담석에 의해 발생한다.  담낭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한다.  급성과 만성 담낭염 증상급성 담낭염은 담석에 의해 담낭관이 막혀 담낭 안의 담즙이 흐르지 못해 곪아 담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이 경우 갑자기 가슴 중간의 명치에 통증이 발생하고, 구역질, 구토가 동반되고 미열이 나타나는데 고열과 오한도 드물지 않게 동반한다.  급성 담낭염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전신 전반에 염증 증상을 일으키는 패혈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  급성 담낭염에 대해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으면 증상.. 2024. 5. 2.
탈장 등 소아 수술, 마취 과정 유의할 점 소아 마취 수술 후 회복 과정 주의해야 할 뇌 손상 영아인 K는 P 병원에서 탈장 수술을 한 뒤 병실로 돌아왔는데 오전 10시 13분 병실 침대에서 팔, 다리를 움직이면서 울고 있었고, 의료진이 체온을 측정한 결과 36도였다.  그런데 의료진이 오전 10시 27분 병실에 와서 보니 영아가 침대에 누워 울지 않고, 얼굴이 창백한 상태였다. K는 오전 10시 40분에는 목에서 가래 끊는 소리가 나고, 딸꾹질 양상을 보이며, 울려도 울지 않았다.  이에 의료진은 산소를 투여했지만 산소포화도가 86%, 맥박이 170~180회였다. K는 오전 11시 31분에는 산소포화도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산소와 수액을 투여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 되었다. K는 상급병원으로 전원 되어 치료를 받았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으.. 2024. 4. 30.
뇌동정맥 기형 환자가 주의해야 할 뇌출혈 뇌동정맥 기형 합병증과 수술 부작용뇌동정맥 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정맥으로 직접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된다.  뇌동정맥기형의 합병증으로는 간질 발작과 뇌출혈이 대표적이다. 뇌출혈은 그 정도에 따라 사망에서부터 의식 불명, 반신 마비, 언어장애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뇌동정맥 기형은 주로 뇌 CT나 MRI 촬영을 통해 진단한다. 그런데 뇌동정맥 기형의 크기가 작고, 병변 주위에 출혈, 부종 등이 없으면 MRI 상으로 쉽게 발견되지 않을 수는 있다.  이후 기형의 유입동맥과 유출동맥을 확인하고, 병소의 크기와 부위를.. 2024. 4. 29.
뇌졸중 검사와 약물 투여, 수술 방법 뇌졸중 증상과 진단검사, 치료 뇌졸중은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나눠지고, 손상된 뇌 부위에 따라 반신마비, 언어장애, 두통, 어지러움, 보행장애, 시야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뇌졸중이 심하면 의식이 혼미해져 발병 초기 사망할 수도 있다.  아래 사례를 통해 뇌졸중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어떤 검사를 받게 되는지, 수술 방법,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을 알아본다.  뇌졸중 발생해 뇌수술A는 새벽에 갑자기 시야장애가 발생하자 G 병원에 내원해 신경외과 외래 진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뇌졸중(CVA)이 의심되면 뇌 CT, 뇌 MRI 검사를 실시한다. 또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MRA) 검사를 통해 뇌혈관장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밖에도 뇌기능이 정.. 2024. 4.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