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직장암 수술 후 알아야 할 성기능, 배뇨 장애 직장암 수술 후 합병증과 환자 유의할 점 K는 혈변 등의 증상으로 S 병원에 입원해 진단한 결과 직장암 진단을 받고 전방절제술 및 복회음절제술을 받았다. K는 수술 이후 자가 배뇨를 할 수 없어 요도관을 요도에 삽입해 인위적으로 소변을 배출시켜야 하고, 그 부작용으로 방광 및 신장 기능에 이상이 발생했다. 또 성기를 포함해 그 주변에 감각이 없어졌을 뿐만 아니라 성기능도 완전히 상실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환자의 손해배상 소송 청구 그러자 K는 S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K의 주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수술 집도의가 직장에 있는 암 조직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암 조직만 제거해야 함에도 성기와 방광 등 그 주변 부위를 관장하는 신경을 절단하거나 손상해 성기능과 자가 배뇨 기능을 완전히.. 2024. 4. 13.
전립선 비대증 수술 후 역행성 사정, 발기부전, 빈뇨 전립선 비대증 치료방법과 수술 합병증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이 비대된 상태를 말한다. 증상은 잔뇨감, 빈뇨, 배뇨통, 요로감염, 야간뇨, 세뇨, 배뇨 주저 등이 있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방법으로는 알파차단제 등을 통한 약물 치료, 전립선 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있다.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은 전립선 비대증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내시경 수술법이다. 요도를 통해 절제경을 삽입해 요도를 압박하고 있는 비대된 전립선 조직을 절제해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는 수술이다. 전립선 비대증 수술 합병증으로는 출혈, 관류액 누출,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증후군, 고환의 뒤쪽에 굽은 구조로 되어 있는 부고환 염증, 요로감염, 혈뇨, 전립선 피막 천공, 방광 천공, 역행성 사정, 발기부전, 배뇨 증상 지속, 요실금, 요도 협.. 2024. 4. 12.
간경화 환자가 주의해야 할 간암 발생 간경변에서 간세포암(간암) 발생 과정 간세포암의 발생 과정은 간경화(간경변증)와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발생하는 재생성 결절에서 시작해 이형성 결절, 조기 간암, 소간암, 진행성 간암에 이르는 발전 단계와 만성 간질환을 거치지 않고 정상 간에서 직접 간암이 발생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재생성 결절(Regenerating nodule)은 크기에 따라 3mm 이하인 소결절성 간경변증, 3mm 이상인 대결절성 간경변으로 나뉜다. 초음파검사에서 간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전반적으로 거친 음영 형태를 보이면 재생 결절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때로는 몇 개의 결절만이 유난히 크게 보이는 경우에는 이형성 결절이나 조기 간세포암과의 감별진단도 필요하다. 아래 사례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가 병원에서 정기.. 2024. 4. 11.
허위 사망진단서 작성에 대한 대법원 판례 부검감정서와 사망진단서 상 사인이 다르게 기재되었다면? 대법원은 의사 등이 사망진단서를 작성할 당시 기재한 ‘사망 원인’이나 ‘사망의 종류’가 허위인지 여부 또는 의사 등이 그런 점을 인식하고 있었는지 여부는 사망진단서를 작성할 당시까지 작성자가 진찰한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 및 상태 변화, 시술, 수술 등 진료 경과 등을 종합해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특히 대법원은 부검을 통하지 않고 사망의 의학적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부검 결과로써 확인된 최종적 사인이 이보다 앞선 시점에 작성된 사망진단서에 기재된 사망 원인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정만으로 사망진단서의 기재가 객관적으로 진실에 반한다거나 작성자가 그런 사정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함부로 단정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아.. 2024. 4. 10.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전 유념할 점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부작용과 환자 주의할 점 P 씨는 퇴근하던 중 다리 마비 증상이 발생하자 뇌출혈을 의심해 바로 C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MRI 검사 등을 받았다. 그 결과 다행히 뇌출혈은 아니었지만 척수병증을 동반한 경부(목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이에 추간판을 제거하고, 척수를 감압한 후 케이지를 삽입해 고정하는 수술을 했다. 그런데 수술 이후 다리 강직성 마비, 자력으로 기립이나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고, 스스로 식사나 옷 입기 등을 할 수 없는 지체기능장애 2급 장애 진단을 받았다. P 씨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동이 불가능하다. 척수병증이란? 척수에 기존의 압박이 있는 상태에서 굴곡되면 척수가 길고 가늘어지며 골극에 의해 척수 압박이 증가한다. 또 척추.. 2024.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