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혈뇨 있다면 신장, 전립선 암, 결석 검사 필수 혈뇨 다양한 원인과 주의할 점 T는 소변을 볼 때 혈뇨가 몇 차례 나오자 A비뇨기과의원에 내원해 방광내시경 검사 등을 받았고, 의료진은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한 뒤 약물 치료를 했다. 의사는 약물치료를 했음에도 전립선암 종양표지자 검사인 PSA 수치(전립선 특이항원)가 참고치인 0~4ng/mL를 크게 초과하자 전립선절제술을 한 뒤 떼어낸 조직을 검사한 결과 전립선암이 아니었다. 그런데 T는 9개월 뒤 다시 혈뇨가 나오자 다시 A 비뇨기과에 내원해 초음파검사, 내시경검사를 등을 받았는데 의사는 요도 결석,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하고 전립선 치료제를 처방했다. 하지만 8개월 뒤 다시 혈뇨, 복부 통증 등이 발생하자 다른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서 검사를 받았는데 신장암이었다. 혈뇨의 원인 혈뇨는 소변에 피가 섞여 .. 2024. 3. 30.
고령, 고혈압 있다면 내시경검사 전 주의할 점 내시경검사 과정 응급상황 발생 사례 P는 9월 14일 F 내과의원에서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던 중 대장천공이 발생해 곧바로 G 병원으로 이송되어 복강경으로 봉합하는 수술을 받았고, 수술 직후 급성 합병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자 퇴원했다. P는 9월 19일 좌측 사타구니(서혜부)에서 장폐색을 동반한 탈장이 발생했다. 장폐색은 장기 특히 소장이 완전히 막혀 음식물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그런데 9월 23일에는 사타구니 부위 탈장이 재발한데 이어 장폐색, 흡인성 폐렴, 심정지 등으로 악화되어 심폐소생술을 받고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지만 안타깝게도 며칠 뒤 사망하고 말았다. G 병원이 작성한 사망진단서에는 대장 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막염에 의한 복압 증가로 인한 장 유착 및 탈장, 이로 인한 장폐색, 흡.. 2024. 3. 29.
자궁내막암 수술 후 구토, 구역질, 복통 등 증상 자궁내막암 환자가 알아야 할 수술 후 증상, 유의할 점 K는 질 출혈 증상이 있어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받았는데 자궁내막 비후, 다발성 자궁근종 소견이 나왔고, 의료진은 종합병원에서 진료받을 것을 권유했다. K는 G 병원에서 질 초음파 결과 다수의 근종이 관찰되었다. 이 경우 의료진은 자궁내막 흡인 조직검사를 실시해 자궁내막 종양이 양성종앙인지 악성종양인지 감별하게 된다. 만약 조직검사 결과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되면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위 내시경, 대장 내시경, 유방 엑스레이, MRI, PET-CT, 종양 표지자 검사 등을 시행해 임상 병기를 확인한다. 자궁내막암 치료는 수술, 방사선, 항암, 호르몬 치료 등이 대표적인데 의료진은 암의 형태, 환자의 연령, 진행 병기, 환자의 심신 상태 등을 종.. 2024. 3. 28.
전립선비대증 증상과 치료, 환자 유의사항 전립선비대증 치료방법, 환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점 전립선비대증은 배뇨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중년, 장년, 남성 질환이며, 남성호르몬 변화, 노화, 유전 등으로 요도를 감싸는 전립선의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발생한다. 여러 요인으로 커진 전립선이 요도를 압박해 방광 기능에 이상이 생겨 소변을 보기가 불편해지는 질환이 전립선비대증이다. 전립선은 전립샘이라고도 하며 방광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하는 남성에서만 있는 생식기관이다. 전립선 크기가 커지면 요도를 누르게 되고, 소변이 나오는 요도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소변 줄기가 약해지거나 소변을 참기 힘들거나 잔뇨감이 남아있는 듯한 소변장애를 일으킨다. 점점 더 시간이 흐를수록 방광 벽이 두터워져 탄력이 떨어지고 요의를 더욱 참을 수 없게 된다. 최악.. 2024. 3. 27.
산모가 유의해야 할 소아 뇌성마비 소아 뇌성마비 예방 방법과 산부인과 의사 주의의무 초산부인 K 씨는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아왔는데 산모, 태아 모두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 임신 39주 3일째 되던 날 진통을 느껴 산전진찰을 받아오던 E 산부인과에 내원해 분만 준비에 들어갔다. 분만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태아 심박동이 분당 90~100회로 감소하기도 했지만 바로 회복되었고, 순조롭게 분만했다. 그런데 신생아는 출생 직후 울음을 하지 않았고, 근육이 이완되어 있었으며, 진단 태변 착색을 보였다. 그러자 의료진은 인공호흡과 함께 앰부배깅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등 응급조치를 취했다. 이후 신생아는 약하게 자가호흡을 시작했고, 근육 긴장도가 다소 좋아졌지만 여전히 울음이 없었다. 의료진은 신생아를 상급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안타깝게도 저산소성.. 2024.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