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질8

뇌전증 발작 수술 의료과실 뇌전증(간질) 치료 위해 뇌전극삽입술 경위 환자는 두 달에 한번 정도 고개와 눈이 오른쪽으로 돌아간 후 사지가 뻣뻣해지는 발작 증상이 있어 대학병원에서 감마나이프 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그 뒤에는 3~4주에 한번 정도 가슴이 뛰고 숨이 차고 현기증이 나는 발작 증상이 있어 여러 병원에서 약물치료를 받아왔다. 환자는 그런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자 피고 병원에서 1개월에 한번씩 통원치료를 받아왔다. 그러던 중 뇌파검사 결과 동정맥 기형 부위에 뇌연화증 소견이 있고, 간질뇌파가 동정맥 기형부위 이외에 우측 전두엽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이에 담당 의사는 뇌전극삽입술을 시행해 우측 전두엽에 있는 간질병소를 찾아내 제거하는 우측 전두엽절제술을 권유했다. 1차 뇌전극삽입술 시행 피고 병원.. 2022. 1. 19.
뇌MRA 검진에서 뇌출혈 소견 통보 안한 과실 [건강검진 의료과실] 뇌MRA 검진 결과 뇌출혈 소견 있었지만 통보 안해 간질 의료기관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 관리를 위한 검진이나 진료를 하면서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나 질병을 의심할 수 있는 요인 등이 발견되면 상담 또는 전문 의료기관 의뢰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뇌MRA 검사 결과 측두엽에 14mm 정도의 아급성 대뇌 출혈을 확인했음에도 환자에게 뇌혈관이 정상이라는 검사 결과를 통보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서 직장 건강검진의 하나로 자기공명영상혈관조영술(MRA) 검사를 받았는데요. 뇌MRA는 동맥류, 혈관기형, 혈관형태 등 뇌혈관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혈관을 영상화하는 검사입니다. 원고는 4일 뒤 ‘뇌MRA 상 보이는 뇌혈관에 의미 .. 2021. 1. 18.
복통이 계속됐지만 단순 감기처방만 해 복막염 치료시기 놓친 과실 복통이 7일간 계속됐음에도 내과의원이 단순 감기처방만 하고, 복막염 수술후 패혈증 의심 소견이 있었지만 조속한 진단과 응급치료를 하지 않은 병원 의료진의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환자는 피고 내과의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았으나 증세가 호전되지 아니하여 네차례에 걸쳐 진료를 받았고, 피고는 단순 감기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처방만 하였다. 환자는 계속 복부에 통증이 있어 피고 A병원을 찾아가 진료를 받았고, 복막염으로 진단되자 개복해 대장루 수술(직장파열 부위 1차봉합수술, 대장루수술 및 충수절제수술)을 했다. 환자는 수술후 3일째 심한 헛구역질과 복통을 호소하였고, 배액관으로 복수와 농양이 계속해서 배출되었고 수술상처 부위에도 고름이 계속 배액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17.. 2017. 11. 19.
뇌출혈환자 의사에게 보고 안한 간호사, 의사는 응급환자 방치 알콜의존증으로 정신병동에 입원해 두차례 쓰러져 뇌출혈이 발생했지만 간호사가 금단증상으로 판단해 당직의사에게 보고하지 않고, 의료진 역시 응급진료를 하지 않고 방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알콜의존증 치료를 위하여 피고 병원의 정신병동에 입원하였다. 환자는 01:05경 피고 병원의 입원실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갑자기 바닥에 쓰러져(1차 충격) 의식이 없이 30초 가량 온몸에 심한 경련을 일으키고, 많은 거품을 내며, 몸이 경직되는 증상을 보였다. 당직간호사 □□□은 환자의 상태를 살펴보고 알콜의존증에 의한 통상적인 금단증상으로 판단하여, 당직의사인 ■■■에게 이를 보고하거나 그로부터 응급처치에 관한 지시를 받지 않았다. 그러면서 당직.. 2017. 11. 9.
동정맥기형 색전술 후 뇌출혈, 완전마비, 보행불능, 간질, 대소변 장애 동정맥기형에 색전술한 후 뇌출혈, 좌측 완전마비, 보행불능, 간질, 대소변 장애 등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평소 간헐적인 두통이 있었지만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내다가 마산 00병원에서 건강검진 차 MRI 검사를 한 결과 우측 전두부 동정맥기형이 발견됐다. 동정맥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 ] 동정맥기형(AVM)은 동맥과 정맥이 서로 엉켜 모세혈관과 연결되지 않은 선천적 결함입니다. 모세혈관의 부족으로 피가 빨리 흐르게 되며, 기형화된 혈관으로 피를 보내고, 높은 혈압에서도 동맥으로부터 말초 조직까지 영양분이 풍부한 피가 흐르지 못하도록 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보건연구원 희.. 2017.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