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상선암13 갑상선암 수술 비용과 로봇수술, 산정특례 갑상선암은 분화도가 좋은 암으로서 예후가 매우 좋아 수술로 제거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갑상선암 치료는 수술이 원칙이다. 갑상선을 전부 제거한 후 갑상선호르몬을 복용하지 않으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빠진다. 따라서 갑상선암 환자는 수술 후 평생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해야 한다. 갑상선암 환자는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갑상선암 환자 수는 2018년 35만 2,846명에서 2020년 36만 8,812명, 2022년에는 39만 8,476명으로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 갑상선암은 20대부터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20대 1만 2,117명, 30대 4만 5,308명, 40대 9만 3,003명, 50대 11만 2,868명, 60대 10만 1,429명,.. 2024. 8. 10. 갑상선 결절, 암, 낭종 진단검사, 수술 대상 갑상선 결절 검사방법과 환자가 알아야 할 점 갑상선 결절은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데 나이가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높고,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갑상선암 고위험군은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에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거나, 갑상선 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거나, 결절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동반할 경우 등이다. 갑상선 검사 방법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방사선 피폭 없는 매우 안전하고 정확한 검사로서 갑상선암 고위험군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병원에서 1cm 이상의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혈액검사인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해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성 결절인 경우 갑상선암 가능성이 낮다.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으면서 촉진되는 비기능성 고형 결.. 2024. 4. 22. 환자가 알아야 할 갑상선암, 결절, 수술 및 합병증 갑상선 결절과 암, 수술 및 환자 유의할 점 갑상선 결절(덩어리, 뭉침)은 무증상이 대부분이고, 임상적으로 갑상선암인 경우가 전체 갑상선결절 환자의 7~15%에서 나타난다. 두경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가족 중 갑상선암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이 있거나 갑상선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거나, 결절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거나, 쉰 목소리를 동반하는 경우 갑상선암일 가능성이 높다. 대한갑상선학회에 따르면 병원에서 1cm 이상 크기의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혈액검사인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한다. 흔히 물혹으로 알려진 단순 낭성 갑상선 결절인 경우 암일 가능성이 1% 미만으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지는 않는다. 다만 낭성 결절의 크기가 커서 기도를 압박하거나, 목의 이물감을 유발하거나, 피부와 가까이 위치해.. 2024. 1. 22. 갑상선암 수술 후 손발 저림 증상 있다면 갑상선암 수술 의사의 책무와 부갑상선 기능 장애 갑상선암 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과정에서 다른 조직을 절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일례로 수술 중 부갑상선을 손상하면 부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해 칼슘 저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 갑상선암 수술 후 환자에게 이상 증상이 발생한 경우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해 부작용 내지 후유증이 발생하거나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주의의무도 있다. 이와 함께 수술을 하기 전 다양한 수술 방법과 각각의 치료 방법의 장점과 후유증 내지 부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갑상선암 진단에 따라 수술을 한 뒤 부갑상선 기능.. 2023. 10. 4. 갑상선암인 줄 알고 수술했더니 양성종양 갑상선암 증상과 진단방법, 수술 후 갑상샘종 확진 갑상선암의 대표적인 증상은 목에 통증이 있거나, 최근 결절이 갑자기 커졌거나, 목에 불쾌한 압박감이 있거나,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목, 림프절 쪽에 단단한 멍울이 만져지는 것 등이다. 갑상선암인지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은 수술로 절제한 조직을 병리검사해서 내린다. 수술 이전 갑상선암인지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세침 흡인 검사가 비교적 가장 정확하다. 의학계는 세침 흡인 검사에서 ‘악성 종양 의심’으로 진단되면 일반적으로 추적 관찰보다 수술을 권유한다. 아래 사례는 세침 흡인 검사 결과 갑상선 유두암이 의심된다는 진단에 따라 절제수술을 한 뒤 조직검사에서 갑상샘종으로 확진된 사안이다. 갑상선 유두암 수술 경과 K는 D 병원에서 세침 흡인 검사를 받은 .. 2023. 10. 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