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대아출산2 임신성 당뇨 방치해 거대아 출산 후 언어장애, 지체장애 빈혈과 임신성 당뇨 증상 발생 원고는 G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왔는데 혈액검사 결과 혈색소 수치가 8.5g/dL로 참고치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태로 확인되는 등 빈혈 증상이 있었다. 또 혈중 당 수치가 294mg/dL로 참고치인 70~140mg/dL에 비해 현저히 높아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증상도 있었다. 원고는 임신 35주차에 피고 병원에 처음 내원했는데 당시 몸무게는 77.7kg이었다. 원고는 피고에게 G산부인과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및 50g 당부하검사 결과를 알려주었다. 이에 피고 의사는 원고를 빈혈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한 후 빈혈이 지속될 경우 그에 대한 치료를 할 예정이라는 점과 심인성 당뇨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했다. 원고는 임신 36주차.. 2022. 6. 2. 거대아 유도분만후 산모 과다출혈 유도분만으로 거대아를 출산한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산모는 피고 산부인과 의사로부터 태아의 예상 체중이 3.9~4kg, 두정부직경이 9.7cm로 거대아에 해당한다는 설명을 들었다. 또 분만예정일에 출산할 경우 난산이 예상된다는 설명을 듣고 유도분만을 하기로 결정했다. 산모는 3.76kg의 남아인 원고를 분만하였다. 그런데 피고 의료진은 산모의 질에서 통상보다 많은 출혈이 있고, 혈압이 70/40mmHg로 측정되자 에르고트 알칼로이드인 메덜진, 혈액량확장제인 펜타스판을 투여했다. 또 항이뇨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을 문힌 거즈 16장으로 질벽을 압박했다. 피고는 산모의 회음절개부위를 봉합한 후 자궁경부 및 질상부벽.. 2020. 2.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