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결절7

간경화 환자가 주의해야 할 간암 발생 간경변에서 간세포암(간암) 발생 과정 간세포암의 발생 과정은 간경화(간경변증)와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발생하는 재생성 결절에서 시작해 이형성 결절, 조기 간암, 소간암, 진행성 간암에 이르는 발전 단계와 만성 간질환을 거치지 않고 정상 간에서 직접 간암이 발생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재생성 결절(Regenerating nodule)은 크기에 따라 3mm 이하인 소결절성 간경변증, 3mm 이상인 대결절성 간경변으로 나뉜다. 초음파검사에서 간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전반적으로 거친 음영 형태를 보이면 재생 결절이 있음을 알 수 있고, 때로는 몇 개의 결절만이 유난히 크게 보이는 경우에는 이형성 결절이나 조기 간세포암과의 감별진단도 필요하다. 아래 사례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가 병원에서 정기.. 2024. 4. 11.
간경화, 간암 검사와 치료, 환자가 유의할 점 간경화와 간암 검사 방법, 환자가 알아야 할 점 간암 발생률은 간염 발생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11%, 20년이 지나면 35%로 증가되고, 간암 환자의 75~80%가 간염 환자이며, 이들 환자 중 약 50~55%가 B형 간염 환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간암은 그 진단이 어렵고, 대부분 진단 당시 이미 간경변증을 동반하면서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아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정기적으로 간 기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간암의 발생 과정은 간경변증과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발생되는 재생성 결절에서 시작되어 이형성 결절, 조기 간암, 소간암, 진행성 간암에 이르는 발전 단계와 만성 간질환을 거치지 않고 정상 간에서 직접 간세포암이 발생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간경화, 간암 검사.. 2024. 2. 20.
폐암 의심 환자 추가검사 안해 치료기회 상실 의사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해 검사를 하거나 상급병원으로 전원시킬 주의의무가 있습니다. 이번 사안은 환자에게 폐암을 의심할 수 있는 진단이 나왔음에도 이를 환자에게 알려주지도, 추가검사를 하지도, 전원조치도 하지 않아 뒤늦게 폐암 4기 판정을 받은 사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골반과 대퇴부 피부 발진과 수포, 통증이 발생하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검사한 결과 대상포진 감염 진단을 받아 입원했습니다. 원고는 항바이러스 약제와 진통제를 처방 받아 6일간 입원치료를 한 뒤 증세가 호전되자 퇴원했습니다. 상폐에서 결절성 병변 발견 한편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가 입원한 당일 대상포진 감염 진단을 하는 과정에서 흉부 방사선 촬영을 했습니다. 그 결과 양측 상폐에 약 2cm 크기의 결절성 병변을 발견.. 2021. 9. 1.
폐암 조기진단 안한 과실 의사는 진찰, 치료 등의 의료행위를 할 때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선의 조치를 할 주의의무가 있습니다. 이번 사례는 특발성 폐섬유화 진단을 받아 정기적으로 흉부 CT 추적검사를 받아오던 중 좌상엽 폐의 결절이 크지고, 림프절이 비대해진 것으로 확인됐음에도 바로 추가검사를 하지 않은 과실로 인해 환자가 뒤늦게 폐암 확진 판정을 받은 사안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특발성 폐섬유화 진단을 받고 1~2년마다 흉부 CT검사를 받아왔는데요. 섬유화는 어떠한 이유로 장기의 일부가 굳는 현상을 말합니다. 폐섬유화는 방사능 피폭이나 폐에 물이 차서 굳어지는 게 많습니다. 그러던 중 흉부 CT검사 결과 1년 전보다 좌상엽 폐의 결절이 커진 소견이 확인되었고, 의사는 6.. 2021. 6. 5.
간암의 폐전이로 판단 개흉술 했지만 크립토콕쿠스 감염…조직검사 안한 과실 크립토콕쿠스증 크립토콕쿠스 네오포르만스라는 효모형 진균에 의한 감염 질환. 이 진균은 조류, 특히 비둘기와 닭이 있는 전 세계 영역의 토양에서 발견된다. 사람의 감염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크립토콕쿠스의 담자홀씨가 호흡 과정에서 폐로 흡입되어 시작된다. 면역 체계가 정상인 사람은 면역체계에 의해 감염원이 제거되거나 폐에만 국한되어 무증상 상태로 남게 된다. 그렇지만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폐 감염(폐 크립토코쿠스증)이 발생하거나 중추 신경계로 감염이 확산되어 수막염이나 크립토콕쿠스종Cryptococcoma)과 같은 중추 신경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간암의 폐전이로 판단 개흉술을 했지만 크립토콕쿠스 감염…조직검사 안.. 2019.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