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골수이형성증후군3 골수이형성증후군 생검, 객혈 처치 과실 골수이형성증후군 생검, 객혈 처치와 의사 과실 골수이형성 증후군은 불응성 골수 이형성 빈혈로도 알려져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급성 백혈병으로 이행할 수 있는 혈액 질환군이다. 아래 사안은 골수이형성증후군 진단에 따라 항암제를 투여하고, 침 생검을 한 뒤 객혈 증상을 보이다 사망에 이른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침 생검 조직검사 조건에 맞았는지, 침 생검 과정에서 과실은 없었는지, 침 생검 후 환자가 객혈 증상을 보인 상황에서 처치가 적절했는지, 설명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는지 여부다.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침 생검 후 사망 사건 환자는 발열, 오한, 설사 등의 증상이 있어 항생제 등의 치료를 받았지만 고열이 호전되지 않자 D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환자에게 혈소판 감소 증상이 있자 골수검사.. 2023. 8. 29. 혈소판 감소증,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뇌출혈 진단 지연 과실 혈소판 감소증 진단 환자는 빈혈로 치료를 받았고, 혈소판 감소증, 골수이형성증후군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4개월 뒤 비장 파열이 발생해 병원에서 비장동맥에 대한 색전술을 받았지만 호흡 곤란, 전신 부종 등으로 4월 23일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환자는 내원 당시 호흡 곤란, 복부 통증을 호소했고, 전신 부종, 복부 팽만, 출혈 등이 관찰되었다. 비장절제술 후 출혈 지속 골수검사 결과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었고, 의료진은 지혈제 처방과 함께 카테터를 이용한 배액술을 실시했다. 의료진은 6월 5일 복강경하 비장절제술을 시행했고, 이후 수술 부위에 출혈이 지속되고 호흡 곤란, 복부 통증 등을 호소했다. 이에 7일 개복을 통해 출혈조절술을 실시했으며, 상태가 호전되어 일반 병실로 전실했다. .. 2022. 6. 13. 백혈병 진료비 임의비급여, 환자에게 환급 임의비급여 사건 사건 과다 본인부담금 확인처분 등 취소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패, 대법원 심리중 처분 경위 원고 대학병원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및 급성림프구성백혈병 등 혈액질환(이하 백혈병 등 혈액질환)으로 진료받은 환자들은 2010년경 피고 심평원에 자신들에게 청구된 진료비가 건강보험 급여 대상인지 확인을 요청하였다. 피고는 심사 결과 병원이 건강보험 요양급여기준규칙, 요양급여 적용기준 및 방법 세부사항, 심평원 공고 등에서 정한 급여기준과 식약처 허가사항을 위반하여 검사, 처치, 약제 또는 치료재료 등을 환자에게 사용하고, 그 비용을 수진자들에게 청구했음을 확인했다. 임의비급여 유형 ◆급여 정산 환자들에게 의약품, 치료재료, 검사, 주사 등을 처방, 투여, 사용한 것에.. 2017. 5.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