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절운동2 다발성 골절 수술 후 무릎 관절운동 중 재골절 발생 이번 사례는 교통사고로 다발성 골절 진단을 받고 수술을 한 뒤 무릎관절 운동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수동적 관절운동을 하던 도중 재골절이 발생해 재수술을 받은 뒤 운동범위가 좁아진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환자를 상대로 관절운동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교통사고를 당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고, 우측 대퇴골 경부 골절, 우측 대퇴골 몸통골절 및 우측 슬개골 다발성 골절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에 의료진은 대퇴골 경부 골절에 대해 고관절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했습니다. 또 일주일 뒤 우측 대퇴골 몸통골절 및 우측 슬개골 골절에 대해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했습니다. 원고는 그 후 퇴원했다가 재활치료를 위해 두 달 후 .. 2021. 7. 13.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관절운동 제한 교통사고로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고 영구적 장애인 슬관절 부위 관절운동 제한…보존적 치료 설명의무 위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교통사고를 당해 피고 병원에 입원해 우측 무릎 외측반월상연골 부분절제술, 좌측 무릎 전방십자인대재건술(이 사건 시술)을 받았다. 원고는 수술후 노동능력상실율 약 12%의 영구적 장애인 좌측 슬관절 부위 관절운동 제한 증세를 갖게 되었다. 원고의 주장 의료진은 원고의 좌측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된 것으로 오진했거나 똔ㄴ 파열되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보존적 치료를 하지 않고 곧바로 수술을 해 원고로 하여금 이 사건 악결과를 갖게 했다. 의료진은 수술시 이식되는 인대의 길이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하지 못한 의료과실을 범했고, 이로 인해 이 사.. 2017. 10.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