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경막하출혈3

외상성 뇌경막 하 출혈 수술 및 전원 시기 외상성 뇌 경막 하 출혈의 임상 증상은 충격 당시 뇌 손상의 정도와 혈종의 크기 및 발생 부위, 혈종의 형성 속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의식 수준은 초기 외력의 정도에 따라 의식 명료에서 혼수상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외상성 뇌출혈 수술 사례 A는 11월 21일 오후 7시 30분 술에 취한 상태에서 집에서 뒤로 넘어져 H 병원 응급실로 후송되었다. 병원 의료진은 우선 상처 부위를 소독한 뒤 오후 8시 30분 뇌 CT 검사를 한 결과 약간의 뇌경막 하 출혈, 출혈성 뇌좌상이 확인되어 중환자실 입실 결정을 했다.  외상성 뇌경막 하 출혈은 뇌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혈종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의료진은 오후 10시 30분 환자를 중환자실로 옮겼는데, 당시 글라스고우 혼수계수(Glasgow .. 2024. 6. 25.
편마비환자가 간병인 부축 받아 화장실 가던 중 낙상 요양병원에서 낙상사고는 빈번하다. 이에 따라 간병인, 의료인에 대한 교육,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조치, 사고 직후 처치 등이 중요하다. 또한 간병인협회와 병원간 계약, 해당 간병인이 병원 직원인지 여부는 손해배상소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편마비 증상으로 피고 요양병원에 입원했고, 간병인 부축을 받아 화장실에 이동했다. 원고는 간병인이 화장실 문을 열기 위해 부축하던 자신의 손을 놓자마자 중심을 잃고 넘어져 벽 모서리에 머리 우측면을 부딪혀 넘어졌다. 피고 병원은 낙상 직후 활력징후, 혈중 산소포화도, 심전도검사, 냉찜질 등의 치료를 했지만 원고는 구토를 하고 의식이 소실되었다. 피고 병원은 원고를 대학병원으로 전원했지만 외상성 .. 2018. 8. 22.
술에 취한 외상 응급환자 소염진통제 처방한 후 귀가 조치시킨 의료과실 (머리 외상)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소송 종결) 환자는 자정 무렵 술에 취한 채 김◇◇과 말다툼을 하던 중 뒤로 넘어지면서 시멘트 바닥에 머리를 부딪혀 잠시 기절했다. 김◇◇은 의식을 되찾은 환자를 즉시 차에 태워 ◇◇병원으로 데리고 가 당직의사인 피고 윤○○에게 응급치료를 받게 했다. 그 당시 환자는 후두부 가운데 부위에 부종 증세 및 출혈 자국이 있었지만 의식이 있어 대화가 가능한 상태였다. 당시 김◇◇은 피고 윤○○에게 "환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머리를 바닥에 부딪혔다"라고만 간단히 말했을 뿐 자세한 사고경위나 충격 정도를 설명하지 않았고, 환자 또한 사고경위나 머리에 입은 충격의 강도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 환자는 처음에는 X-ray 촬영을 거부했지만 피고 윤○○.. 2017.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