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내출혈13

구음장애, 의식저하, 혼수 동반한 뇌출혈 뇌출혈은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혈압, 술, 담배 등이 위험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출혈은 두통, 의식장애, 언어장애 등을 동반하는데 갑자기 증상이 발현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아래 사례는 급성 만성 간질환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가 의식이 혼미해지고, 구음장애 등이 나타났다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던 중 갑자기 구음장애 등의 증상이 발생해 정밀검사한 결과 뇌출혈 판정을 받은 사안이다.  간질환 치료 중 뇌출혈 발생 A는 12월 17일 황달, 전신 통증, 고열로 F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A는 의료진의 문진 과정에서 매일 소주 1~2병을 마시다가 1개월 전부터 중단했는데 1주일 전부터 황달이 심하고, 전신 오한이 지속되었다고 대답했다.  진찰 결과 환자는 전신 황달.. 2024. 6. 13.
뇌출혈 치료 중 폐렴 발생했을 때 의사 과실 기준 뇌출혈, 폐렴 치료와 의사 잘못 판단 기준 외상이 없는 뇌출혈의 원인은 고혈압, 동맥 파열, 동정맥 기형, 뇌종양 등으로 다양하다. 뇌 CT, 뇌 MRI 검사를 통해 원인을 진단한다. 뇌출혈이 발생하면 혈압은 환자의 평소 혈압, 연령, 추정되는 출혈의 원인, 출혈 시점부터의 시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또 두개내압은 환자의 예후 및 사망률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인자여서 필수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이 때문에 뇌압강하제 만니톨을 주로 투여하게 된다. 그런데 만니톨을 투여하면 세포 내 탈수 작용 및 삼투효과에 따라 혈장이 일시적으로 증가되어 혈압이 상승할 수 있다. 아래 사례는 뇌출혈이 발생해 병원에서 혈종 제거 수술 등의 치료를 하다 다른 병원으로 전원한 직후 폐렴으로 사망한 사안이다. 사건의.. 2023. 10. 12.
뇌출혈 발생 뒤늦게 검사한 과실 흉부 엑스레이 검사 도중 넘어진 환자 환자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뇌혈관 질환, 경동맥 협착, 만성음주로 인한 인지기능저하 등에 대한 정밀검사를 받기로 했다. 환자는 오후 12시 27분 흉부 엑스레이 검사 도중 식은땀을 흘리며 갑자기 넘어졌다(이 사건 사고). 환자는 그 직후인 12시 33분 응급실로 돌아왔다가 오후 1시 22분 영상검사실로 이동해 뇌MRI 검사를 받으려고 했다. 약 4시간 뒤 경련 증상 발생 그런데 환자가 소리를 지르거나 자리에서 일어나려고 해 검사를 하지 못한 채 오후 1시 30분 응급실로 돌아왔다. 환자는 오후 4시 14분 피고 병원 응급실에서 입원을 기다리는 도중 약 10초 동안 양쪽 팔다리에서 경련 증상이 나타났고, 의료진은 항경련제를 투여했다. 다음 날 뇌 CT 검사 결과 뇌출혈.. 2022. 3. 25.
자연분만 후 뇌출혈과 신생아가사…전원의무도 위반 태아가 심하게 몰딩된 상황에서 무리하게 자연분만을 시행해 신생아에게 뇌출혈과 신생아 가사를 초래하고, 빈호흡과 저혈당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음에도 상급병원으로 신속하게 전원하지 않은 의료진의 과실을 인정한 판결.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초산부로서 출산예정일이 지나도 진통이 시작되지 않자 임신 41주 4일째 유도분만을 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원고는 09:30경부터 분만촉진제 옥시토신을 투여받았고, 15:30경 태아의 머리에 몰딩이 발생했다. (몰딩: 태아의 머리가 좁은 산도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기 위해 머리의 봉합 부분이 겹쳐지는 것을 말한다) 분만 중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태아 머리의 몰딩이 심하거나 오래된 상태에서 분만이 진행되지 않으면 머리.. 2019. 2. 10.
위막성 대장염 치료, 설사 추가검사 안한 과실 대장염 대장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장염과 비감염성 장염으로 분류한다. 급성 감염성 대장염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발생되며 발열, 오심, 구토, 점액성 또는 혈성 설사와 복통이 주 증상이다. 감염균의 종류에 따라 바이러스성 장염(노로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세균성 장염(콜레라, 대장균, 이질, 장티푸스, 예르시니아, 캠필로박터), 원충 대장염(아메바), 위막성 대장염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뇌내출혈로 인한 안면마비, 편마비, 간질발작하자 항생제 투여후 위막성 대장염으로 사망…설사 추가검사 안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집에서 쓰러진 채로 발견돼 뇌내출혈로 피고 병원에.. 2019.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