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동맥류 파열3

뇌동맥류 수술했지만 뇌경색 발생해 하반신 마비로 무동증, 무언증 뇌경색 뇌의 혈관이 막히고 그 앞의 뇌조직이 괴사하게 되는 질환이다. 뇌혈전증과 뇌색전증이 있다. 뇌의 영양혈관이 완전히 폐색되거나 강한 협착을 일으켜 혈류가 현저하게 감소되면 그 부분의 뇌조직이 괴사하여 마침내 융해된다(뇌연화). 뇌연화증은 뇌의 세포들이 죽어 연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뇌경색으로 뇌세포들이 죽게 되면 뇌연화가 나타나지만 엄밀히 말하여 뇌연화증과 뇌경색은 다른 질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혈관조영술에서 뇌혈관이 부풀어 있자 뇌동맥류결찰술을 했지만 자발적인 뇌동맥류 파열로 뇌경색이 발생해 하반신 마비로 무동증, 무언증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환자는 심장질환과 수전증이 있어 피고 병원에서 뇌CT 검사를 한 결과 파킨슨병 초기 증상이 있.. 2019. 1. 8.
뇌CT 결과 출혈, 공간점유병변 없어 퇴원했지만 뇌동맥류 파열 CT 판독상 뇌출혈이 발견되지 않은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응급상황이 아니므로 외래진료를 통해 신경외과 협진 등 추가 진료가 필요하고 파열 방지를 위한 예방적 치료를 한다. 이번 사건은 심한 두통으로 뇌CT 결과 출혈이나 공간점유 병변이 없어 퇴원했지만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출혈 발생…비파열성 뇌동맥류 치료가 쟁점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갑자기 심한 두통이 발생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는데 기침과 쑤시는 듯한 머리 통증을 호소했다. 의료진은 뇌CT 검사를 했는데 출혈이나 공간점유 병변이 없다는 소견이 나왔고, 상태가 좋아져 외래 추적진료를 계획하고 이상이 있으면 재내원할 것을 설명한 뒤 퇴원시켰다. 그런데 이틀 뒤 갑자기 두통을 호소하며 쓰러져 심폐소생.. 2019. 1. 6.
뇌동맥류 파열, 뇌지주막하출혈 수술 후 응급대처 못한 의료과실 의료진은 오후 6시 30분경 환자의 산소포화도가 40%로 저하된 것을 발견하고 즉시 응급처치를 했고, 다만 간호기록지상 관련 기록이 없는 것은 담당 간호사가 환자에 대해 우선적으로 처치를 한 후 기억에 의존해 기록을 하던 중 시각을 오인해 기재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면 재판부가 받아들일까? 뇌동맥류 파열과 급성 뇌지막하출혈 등으로 수술한지 11일 후 이상상황에 응급대처하지 못해 저산소증 뇌손상 초래 과실…간호기록지 기록 전무한 점도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자택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채로 발견되어 병원으로 후송되고 좌측 중대뇌동맥의 뇌동맥류 파열과 급성 뇌지주막하출혈 및 뇌내출혈로 진단받아 피고 병원으로 전원조치됐다. 피고 병원은 뇌혈관조영술.. 2018.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