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동맥류51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출혈, 뇌부종 발생 스텐트 보조 코일색전술 경위 환자는 왼쪽 눈이 잘 떠지지 않는 불편과 좌측 두통을 호소하다가 피고 병원 신경과에 내원했다. 환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피고 병원에서 뇌 자기공명검사(MRI)와 뇌 자기공명혈관검사(MRA)를 받았다. 그 결과 왼쪽 중대뇌동맥의 비파열성 뇌동맥류 소견을 보였고,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했다. 뇌동맥류란? 뇌동맥류는 혈관 벽의 이상으로 혈관의 일부가 늘어나거나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뇌동맥류 중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를 비파열 뇌동맥류라 하고, 딸낭은 동맥류 중 모양이 불규칙해 동맥류의 벽이 늘어나 또 하나의 동맥류가 기존의 동맥류에 붙어있는 듯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코일색전술 도중 출혈 발생 피고 병원 신경외과 의료진은 딸낭(daughter s.. 2021. 12. 2.
수두증 수술 후 뇌기능장애, 사지부전마비 이번 사례는 뇌 동맥류 파열로 수술을 받은 뒤 뇌수두증이 발생해 뇌실복강간 단락술을 받고 고열, 발작 등이 발생했음에도 장기간 뇌척수액검사를 하지 않아 사지부전마비 등이 발생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심한 두통, 우측 다리 마비 등의 증상으로 모 대학병원에 응급 후송되었는데요. 병원은 뇌혈관 조영 CT 검사 결과 전교통동맥 동맥류 파열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뇌동맥류 결찰술, 뇌척수액 배액술을 시행했습니다. 병원은 이틀 뒤 원고의 동공 크기가 2~6mm로 느리게 반응하고 왼편이 오른편보다 움직임이 활발하며 양쪽 다리가 통증에 펴지는 것을 관찰하고 두부CT 검사를 했는데 수술 부위에 경막외 혈종이 생긴 것을 확인했습니다. 원고는 두 차례 수술 후 반혼수 상태이고, 사지의 운동능력이 저하되어 병상에 누.. 2021. 6. 3.
뇌동맥류 수술후 뇌경색으로 편마비, 구음장애 이번 사건은 두통이 지속되자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뇌동맥류가 발견돼 개두술과 뇌동맥류결찰술을 받은 직후 뇌경색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뇌혈류 장애를 초래했는지, 수술 이전에 충분하게 설명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두통이 지속되자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 내원해 뇌CT 검사를 받았는데요. 그 결과 뇌실질에는 특이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좌측 중대뇌동맥에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발견되었습니다. 이에 피고 병원 신경외과 전문의는 뇌동맥류를 치료하기 위해 개두술 및 뇌동맥류결찰술을 시행했습니다. 피고 병원 간호사는 수술 종료 30분 후 원고의 신경학적 상태를 확인했는데 의식은 거의 명료했고, 사지의 근력은 우측 상하지가 1~2등급, 좌측 상하지.. 2021. 5. 27.
뇌동맥류 수술 후 뇌경색, 뇌출혈, 뇌부종 초래 뇌동맥류 수술 후 뇌경색, 뇌출혈, 뇌부종 초래 이번 사건은 뇌동맥류에 대해 개두술 및 동맥류 결찰술을 한 후 뇌경색, 뇌출혈, 뇌부종, 뇌탈출 등이 발생해 재수술을 했지만 자발적 의사소통 등을 할 수 없는 등 상태가 더 악화된 사안입니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코일색전술이 아닌 수술을 선택한 게 과실에 해당하는지, 1차 수술상 의료진의 과실로 인해 뇌경색 등이 발생했는지 여부 등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곤함, 어지러움, 두통이 지속되자 피고 병원에서 뇌혈관조영검사를 받은 결과 내경동맥 원위부에 약 3cm 크기의 꽈리형 뇌동맥류가 판독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 병원에 입원해 뇌CT 검사 등을 받은 결과 뇌동맥류가 판독되었고, 중대뇌동맥의 혈류는 잘 관찰되었으며, 뇌경색, 뇌출혈, 뇌부종, 뇌탈출 소견도.. 2021. 4. 24.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뇌손상으로 판마비, 인지장애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뇌손상으로 판마비, 인지장애 이번 사건은 비파열성 뇌동맥류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코일색전술을 하는 과정에서 혈관을 파열시켜 지주막하 출혈과 뇌손상을 초래해 편마비, 인지장애 등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뇌혈관조영술을 받은 결과 비파열성 뇌동맥류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에 피고 병원을 방문해 상담을 한 후 코일색전술을 받기로 결정했습니다. 원고는 좌측 중대뇌동맥 분지부위의 동맥류에 대해 코일색전술을 받은 뒤 좌측 안동맥 분지부위의 동맥류 치료를 위해 좌측 내경동맥에 풍선을 거치하고 코일을 삽입하던 중 좌측 내경동맥 부분을 파열시켰습니다. 그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자 의료진은 헤파린 중화 및 뇌압조절, 혈압강하를 시작했고, 신경외과 주치의에게 연락해 파열 부위를 코일로 막.. 2021.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