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지주막하출혈13 지주막하 뇌출혈 두통 증상과 응급수술 뇌지주막하출혈 진료 의료진 주의의무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지주막하출혈이 의심되는 환자가 병원에 내원한 경우 의료진은 어떤 주의의무를 다해야 할까? 우선 신속하게 뇌 CT 등 진단 검사를 실시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한 뇌압을 낮추기 위한 약물 투여 등을 한 뒤 환자의 임상 상태 등을 감안해 적절한 시점에 수술을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수술 전, 수술 후 환자의 임상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하며, 병원에서 즉각적인 검사 또는 수술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불가피한 사정으로 다른 병원으로 환자를 전원 시킬 때에는 의료진을 응급차에 동승하도록 하고, 발작에 대비해 진정제를 준비하는 등 환자의 안정을 위.. 2023. 12. 24. 다낭성 신종(ADPKD) 뇌동맥류 진단상 과실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종(ADPKD) 다낭성 신종 환자에게 뇌동맥류 질환이 발생하는 비율이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뇌동맥류가 파열되는 때에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두통과 경부 강직이 있다. 다낭성 신종 환자에 있어 뇌동맥류에 대한 두부 MRI 촬영이 필요한 경우는 심하거나 비정상적인 두통이 있거나 뇌혈류 장애 또는 대뇌 신경 마비가 있을 때, 뇌동맥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등이다.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종환자가 구토, 상복부 통증 등의 증상을 보여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뒤 흉추 경막하 출혈 등으로 수술을 받았지만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다낭성 신장병 환자에게 뇌동맥류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발생했음에도 의료진이 신속하게 검사 및 치료를 하지 않아 주의의무.. 2022. 7. 22. 뇌동맥류 파열 사건 사례1. 검사후 퇴원한 직후 뇌동맥류 파열 심한 두통으로 피고 병원 내원 환자는 오후 10시 40분 경 갑자기 심한 두통이 발생해 119 구급차를 타고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환자는 피고 병원 내원 당시 혈압이 140/90mmHg, 맥박 88회/분, 호흡 20/분이었고, 기침과 쑤시는 듯한 머리 통증을 호소했다. 퇴원 이틀 뒤 사망 의료진은 자정 무렵 조영제를 사용한 뇌 CT 검사를 시행해 출혈이나 공간점유 병변이 없다는 소견을 피력하고, 오전 1시 50분 경 퇴원 조치했다. 환자는 이틀 뒤 오후 11시 12분 경 갑자기 두통을 호소하며 쓰려져 119구급대에 의해 심폐소생술을 받으면 I병원 응급실에 도착했지만 병원에 도착할 당시 무호흡, 무맥박 상태였다. 원고의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 그러자 환자 .. 2022. 4. 28. 협착증 비수술적 치료 FIMS(핌스) 후 뇌출혈, 낙상 사고 협착증으로 비수술적 FIMS(핌스) 시술 환자는 목, 척추 등의 통증과 왼쪽 팔의 힘이 없는 증상을 호소하며 피고 C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은 환자의 증상을 목 척추부위 신경관의 추간판 협착, 허리 척추부위의 신경과 추간판 협착으로 진단했다. 이에 환자는 피고 병원에 내원해 1차 A-FIMS(자동주사방식 신경자극술 및 미세유착박리술)과 물리치료, 걷기운동 교육 등을 받았다. 비수술적 FIMS(핌스, 기능적 신경근육자극요법) 치료란? 특수바늘을 이용해 디스크와 협착증을 치료하는 시술이다. 척추 뼈가 퇴행하면서 신경이 빠져나가는 신경곤이 좁아지면 신경을 압박해 통증이 발생한다. 이 때 특수바늘을 신경근으로 삽입한 뒤 유착을 풀어 신경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부종과 염증을 가라앉혀주는 치료방법이다. A-FI.. 2022. 2. 27. 뒷목 통증에 FIMS, 신경차단술 시행후 뇌지주막하출혈 FIMS(핌스) 시술과 신경차단술 시행 원고는 후경부(목 뒤쪽), 등,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피고 H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원고는 그 뒤에도 두통과 후경부 통증을 호소해 피고 H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투시경하 신경유착박리술인 FIMS(핌스, 특수 고안된 바늘을 이용해 통증을 유발하는 유착부위를 자극, 박리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시술) 시술을 했다. 그런데 FIMS 시술로부터 3시간이 경과해도 증세가 나아지지 않자 피고 의료진은 원고에게 경추간 후관절 차단술(목 뒤 경추 사이 관절에 국소마취제를 투여하는 시술, 신경차단술) 주사치료를 시행했다. 뇌지주막하출혈 의심 증상 발생 경추 후관절차단술을 시행한 지 10분 정도 지난 뒤 원고에게 갑작스러운 구토 증상과 두통이 발생했고, 뇌 CT 검사 결.. 2022. 2. 2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