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뇌척수액14

수두증 증상, 션트수술 후 뇌출혈 있다면 수두증 증상과 션트수술 후 뇌출혈, 뇌압 조치 수두증(물뇌증, hydrocephalus)은 뇌실 또는 두 개강 안에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뇌압이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 수두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시력 감소, 구토, 기억장애, 두통, 마비 등이다. 수두증에 대한 치료방법 중 하나는 내시경을 이용해 뇌실 내 단락술(션트수술)이다. 이 수술방법은 내시경이 뇌 조직을 뚫고 통과해 뇌실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의료진은 내시경을 정확히 삽입해야 하고, 뇌실 벽과 중요한 구조물을 손상시켜 출혈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가 있다. 특히 제3 뇌실 바닥을 천공할 때 바닥 밑에 뇌 기저 동맥이 위치하고 있어 이를 손상시키면 대량 출혈이 발생해 생명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아울.. 2023. 9. 4.
수술 중 급성 심근경색 발생했다면? 수두증과 같은 수술을 시행하던 도중 환자에게 심근경색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진은 어떤 처치를 해야 할까? 아래 사례는 수두증 환자의 뇌척수액을 배액하기 위해 뇌실 복강 간 단락술을 하던 도중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하자 응급처치를 했지만 사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수술 중 환자에게 급성 심근경색 증상이 나타난 상황에서 의료진이 적절한 처치를 했는지 여부다. 수두증 수술 도중 급성 심근경색 발생 사건 환자는 과거 당뇨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받다가 보행장애가 발생해 피고 G병원 신경외과에 내원한 바 있다. 환자는 3개월 후 피고 병원에 입원해 검사와 치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환자에 대해 뇌척수액 배액을 시도한 후 보행장애가 호전되자 뇌실 복강 간 단락술을 시행하게 되었다. 뇌실 복막은 뇌척수액으로 채워.. 2023. 5. 20.
신천성 척추척만증 일종인 클리펠-파일증후군 수술후 뇌수두증 발생 클리펠-파일증후군(Klippel-Feil syndrome) 2개 이상의 경추가 선천성으로 유합되어 경부 운동 범위가 감소되고, 목이 짧아지며, 목덜미의 모발 선이 낮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선천성 경추 결합으로도 불린다. 42,000명 출생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여성이 약 55%를 차지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이번 사건은 신천성 척추척만증 일종인 클리펠-파일증후군으로 척추교정술 후 뇌수두증 발생…조기수술 강행, 추가검사 미실시가 쟁점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출생할 때부터 오른쪽 볼이 아래로 처져있고, 안면비대칭이 있었는데 생후 13개월경 피고 병원에서 신천성 척추척만증의 일종인 클리펠-파일증후군 진단을 았다... 2019. 1. 6.
수두증 의심해 뇌척수액검사 후 보행장애 배뇨장애 보행 및 배뇨장애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뇌CT 점사 결과 수두증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듣고 피고 대학병원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원고를 입원시킨 뒤 방사선동위원소 뇌조조영술 검사(이 사건 시술)를 시행했다. 의료진은 요추 4-5번 사이에 바늘로 천자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를 요추의 지주막하강으로 주입해 뇌척수액 흐름을 조사하는 검사를 했는데 11시간 후 구역감과 두통을 호소하자 의료진은 일시적인 증상임을 설명하고 항구토제와 진통제를 투여했다. 의료진은 검사결과 뇌지주막하 공간의 폐쇄로 인해 뇌실이 확장되는 교통성 수두증으로 진단하고 뇌실-복강 단락술이 필요하다고 원고에게 설명했지만 원고는 갑자기 퇴원을 요구해 퇴원조치했다. 원고는 다음날 양발의 근력저하 및 배뇨장애를 호소하며 다른 .. 2017. 10. 27.
뇌출혈환자 방치, 치료 지연 의료분쟁 뇌출혈 치료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환자는 고혈압, 당뇨 질환이 있는데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고 손발 저림 등 좌측 마비 증상이 있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환자는 뇌압강하제 만니톨과 이뇨제 라식스 등을 투여하고 뇌실질내 출혈 소견을 보였고, 다량의 구토를 했다. 이에 의료진은 중환자실로 전실한 후 뇌CT 검사에서 혈종이 증가되고, 수두증 소견을 보이자 응급수술을 하기로 결정했다. 수두증,뇌수종[hydrocephalus ] 뇌실과 지주막하 공간에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상태. 뇌에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이라는 맑은 체액이 뇌의 안과 밖을 채운 채 순환하고 있다. 뇌의 안쪽에는 뇌실(ventricles)이라는 작은 빈 공간들이 있으며 이 곳에 있는 맥락총 혈관.. 2017.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