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맥류파열2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중 동맥류 파열사건 후교통동맥류 진단 받고 코일색전술 원고는 후교통동맥(우측의 두개강 내 내경동맥과 후순환계를 이어주는 동맥) 뇌동맥류 진단을 받고 동맥류 파열을 막기 위해 피고 병원 신경외과의사로부터 코일색전술을 받았다. 뇌동맥류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 일부가 풍선처럼 부풀어 혈관벽이 얇아지는 병이다. 뇌동맥류는 매우 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쉽게 파열될 수 있으며 일단 파열되면 뇌출혈이 발생한다. 뇌동맥류 중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를 비파열 뇌동맥류라고 한다. 코일색전술이란? 뇌동맥류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뇌동맥류 안에 색전물질인 백금코일을 삽입해 혈류가 뇌동맥류로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시술이다. 코일색전술 시행중 혈전색전증, 동맥류 파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코일색전술 과정에서 동맥류가 파열되는 .. 2022. 2. 5.
위암수술 후 복막염 발생해 농양배액술하면서 동맥류 파열 위암수술 후 위와 십이지장을 접합한 문합 부위에서 고름이 세는 복막염이 발생해 경피적 농약배액술을 시행한 사건입니다. 의료진이 경피적 배액관 삽입 후 농양을 흡인하는 과정에서 가상 비장동맥류를 확인하지 못해 파열되면서 대량 출혈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배액술에 앞서 시행한 복부CT 영상에서 비장동맥류를 의심하거나 영상의학과 등과의 협진을 통해 가장 비장동맥류를 확인했어야 하지만 이를 간과한 채 배액술을 시행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 위암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해 그 다음 날 복강경을 이용해 위를 절제하는 위아전절제술과 함께 남은 위와 십이지장을 접합시키는 위십이지장문합술을 받고 퇴원했다. 원고는 20일 뒤 고열과 복.. 2020. 7.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