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루푸스5

루푸스 환자와 스테로이드 투약 루푸스 환자에 대한 스테로이드 투약 급성기 루푸스 환자는 스테로이드를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용량을 줄이더라도 서서히 줄여야 한다. 아래 사안은 스테로이드를 투약 중이던 푸루스 환자에 대해 스테로이드 투약을 중단해 증상이 급격히 악화된 사례다. 루푸스 환자 스테로이드 투약 중단으로 상태 악화 환자는 전신성 홍반 루푸스 진단을 받아 의원에 세 차례 입원해 치료를 받았지만 증상이 계속 발현되자 12월 24일 오후 6시 G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루푸스는 자가 면역 질환의 하나이며, 면역계의 이상에 의해 피부, 관절, 신장 등 전신에서 염증 반응을 보이는 질병이다. 정확한 원인과 치료 방법이 확인되지 않았고, 증상이 호전되었다 악화되었다 반복하는 만성 질환이다. G 병원 응급실 .. 2023. 8. 23.
발열, 근육통 증상 검사 지연해 췌장염 악화 췌장염 증상 진단검사 지연해 상태 악화 의사는 발열이나 구토,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한 경우 발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혈액검사 등 필요한 검사를 해야 한다. 또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하고, 여러 사정상 혈액검사, CT 검사 등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신속하게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안은 발열, 근육통 등의 증상으로 세 차례 입원 치료를 했지만 진단 검사를 하지 않아 급성 췌장염을 악화시킨 사례다. 발열 등 급성 췌장염 증상 있었지만 진단 지연 A는 8월 17일 발열, 근육통 증상으로 F 의원에 내원했다가 입원했고,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진단을 받은 후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치료를 받다가 퇴원했다.. 2023. 8. 12.
전신홍반 루푸스 치료하지 않아 색소침착 동반 반흔과 탈모증 초래 전신홍반루푸스 전신홍반루푸스는 만성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으로 결합조직과 피부, 관절, 혈액, 신장 등 신체의 다양한 기관을 침범하는 전신성 질환이다. 흔히 전신홍반루푸스를 줄여서 루푸스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질환의 이름은 늑대를 의미하는 라틴어(lupus)에 기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늑대에 물리거나 긁힌 자국과 비슷한 피부발진이 얼굴에 나타나기 때문에 ‘루푸스’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얼굴에 생긴 발진이 염증으로 인하여 빨갛게 보인다는 것이 알려진 후 ‘홍반성 루푸스’라고 부르다가, 피부 이외의 다른 장기에도 염증이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전신홍반루푸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희귀질환정보) 국군병원이 사병의 복무중 질병인 전신홍반루푸스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아 얼굴에 색소침착 .. 2019. 2. 6.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술 받고 쇼크 사망한 사건 과거 8년 동안 루푸스 질환을 앓고 있던 환자가 척추관협착증, 퇴행성 요추후만증, 추간판탈출증 등으로 수술을 받은 뒤 사망한 사건에서 수술 직전 혈액응고검사를 하지 않았고, 수술 5일 전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지 않은 게 과실인지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환자는 피고 병원 류마티스내과에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진단을 받아 약물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7년 뒤 요통과 양하지로 뻗치는 방사통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MRI 검사 결과 제3-4-5 요추간 척추관 협착증 및 퇴행성 요추 후만증, 제4-5 요추간 추간판 탈출증 소견이 관찰됐고, 수술을 위해 내분비내과 및 류마티스내과에 협진을 의뢰했다. 이에 대해 류마티스내과 의료진은 평소 복용하고 있던 아스피.. 2018. 10. 12.
루푸스, 만성신장질환으로 혈액투석환자가 결핵으로 사망 좁쌀결핵 진단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파기환송, 2심 원고 패 환자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루푸스 신장염에 의한 만성신장질환을 앓아 온 신장장애 2급 장애인이다. 환자는 구치소에 입소해 신입건강검진을 받으면서 의무관에게 무릎통증약을 복용중이며, 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을 하고 있다고 진술했다. 환자는 계속 무릎 통증을 호소해 구치소 의무관으로부터 해열진통소염제를 처방받았고, 대학병원에서 무릎 관절강 내 삼출액 천자, 혈액검사, 균배양검사를 한 결과 결핵균이 발견됐다. 그러나 구치소 의무실에는 흉부 x-선 촬영장비가 있었지만 의무관은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환자는 심한 기침 및 호흡곤란증세를 보여 대학병원에 입원해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가 좁쌀결핵 및 폐렴 악화로 .. 2017.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