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혼수3 신장 결석 수술 후 패혈증으로 사망했다면 이번 사례는 혈뇨 증상을 보여 검사한 결과 신장 결석이 확인되어 경피적 신장결석 제거수술을 받고 약 10개월 뒤 신장 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역행성 신장 결석 제거술을 받고 갑자기 의식이 저하되자 응급처치를 했지만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사안이다. 신장 결석 제거수술 후 패혈증, 의식불명 사건 환자는 혈뇨 증세를 보여 피고 병원에 내원해 복부 CT검사를 시행한 결과 3cm가량의 신장결석(녹각석)이 확인되자 경피적 신결석 제거술(percutaneous nephrolithotomy)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후 신장 결석 중 일부가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어 추후 경과를 살펴보기로 했다. 환자는 10개월 뒤 피고 병원에 내원해 복부 CT 검사와 소변검사 등을 받은 결과 신장 결석 및 미세혈뇨 진단을 받았다. 환자는 .. 2023. 5. 24. 뇌출혈환자 방치, 치료 지연 의료분쟁 뇌출혈 치료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환자는 고혈압, 당뇨 질환이 있는데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고 손발 저림 등 좌측 마비 증상이 있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환자는 뇌압강하제 만니톨과 이뇨제 라식스 등을 투여하고 뇌실질내 출혈 소견을 보였고, 다량의 구토를 했다. 이에 의료진은 중환자실로 전실한 후 뇌CT 검사에서 혈종이 증가되고, 수두증 소견을 보이자 응급수술을 하기로 결정했다. 수두증,뇌수종[hydrocephalus ] 뇌실과 지주막하 공간에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상태. 뇌에는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이라는 맑은 체액이 뇌의 안과 밖을 채운 채 순환하고 있다. 뇌의 안쪽에는 뇌실(ventricles)이라는 작은 빈 공간들이 있으며 이 곳에 있는 맥락총 혈관.. 2017. 9. 7. 뇌경색·뇌혈관 협착수술 후 인지장애, 부전마비 뇌경색·뇌혈관 협착 환자, 두개골절제술 후 뇌경막하 혈종 등으로 인지장애, 부전마비 초래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고혈압 진단, 안정성 협심증 진단을 받은 바 있고, 2010. 9. 25. 좌측 상지의 위약, 말 어눌해짐 등을 이유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신경학적 검사 결과 좌측 상하지에 경도의 위약과 구음장애가 관찰되었다. 뇌 MRI 검사에서는 우측 중대뇌동맥 영역에서 급성 뇌경색, 다발성 뇌혈관의 협착, 양측 뇌반구에 만성 허혈성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뇌혈관 CT 검사 결과 우측 관상동맥의 심한 협착증이 확인되었다. 이에 원고는 피고 병원에 입원, 항혈전제 및 항응고제 치료를 받기 시작했고, 26일 좌측 안면마비, 경한 구음장애 증상을 보이고 심장효소가 증가.. 2017. 7.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