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유합4 골다공증 있는 노인 대퇴부 골절수술 주의점 골다공증 노인 골절 수술할 때 고려할 점 고령인 데다 골다공증이 있는 상태에서 대퇴골 골절 사고를 당해 골절 부위 고정 및 핀 삽입 수술을 했지만 골절 부위가 유합 되지 않아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런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은 내고정물을 삽입 하더라도 골절 부위가 유합 되지 않을 수 있어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한 골절 부위 내고정물을 삽입하고 판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불유합이나 부정 정렬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 대퇴부 골절 사고를 당해 수술을 했지만 불유합이 발생해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안이다. 골다공증 .. 2023. 12. 1. 개방성 골절, 압궤손상 수술 후 불유합, 관절 강직 개방성 골절과 압궤손상은 조기에 변연 절제술과 창상 세척을 하지 않으면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불유합, 지연유합, 팔 다리의 기능 상실 또는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개방성 골절 치료 시기 개방성 골절이란 골절 부위가 개방창을 통해 외부환경과 연결되어 있는 골절을 말하고, 이 때 뼈 주위의 연부조직과 피부 손상을 동반한다. 탈 장갑화 손상은 강력한 외력에 의해 피부 및 피하지방층이 근막으로부터 분리되어 혈관의 기반이 불분명한 피부 피판을 형성하는 손상을 의미한다. 압궤손상은 압력에 의해 신체의 조직, 신경 등이 손상을 입은 상태를 말한다. 개방성 골절 및 압궤손상은 8시간 이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오염된 상처가 감염 상처로 바뀌어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가능한 조기에 24.. 2023. 3. 31. 골절수술 후 뼈가 붙지 않아 불완전 유합 재골절 골절 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골절에 대해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의사는 이후 금속판을 제거하기 전에 골절 부위가 견고하게 유합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약 불완전 유합 상태에서 금속판을 제거하면 완전 유합 상태에서보다 재골절 위험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불유합 상태에서 금속판을 제거해야 할 경우 더더욱 재골절을 조심해야 한다. 아래 예시한 사례는 환자가 팔 골절 진단 아래 금속판 내고정술을 받고, 약 2년 뒤 금속판 제거술을 받았는데 몇 년 뒤 같은 부위에서 재골절이 발생해 다시 수술한 사안이다. 골절 수술 후 재골절 발생 사례 C는 2월 22일 스키를 타다가 넘어져 E정형외과의원에 내원해 좌측 척골(자뼈, 아래팔을 구성하는 두 개의 뼈 중 안쪽에 있는 뼈) 근위부 분쇄성 골절 진단을 받.. 2022. 12. 7. 사고로 골절 손상 입어 변연부절제술, 피부이식, 석고부목했지만 불유합, 골수염, 신경마비 (종아리뼈 골절 수술)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자전거를 타고 한강대교를 지나다 넘어져 좌측 하퇴부 비골(종아리뼈) 개방성 골절 손상을 입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변연부 절제술(괴사 조직 제거술) 및 창상 세척술을 받고 석고부목으로 고정했다. 그런데 좌측 하퇴부 괴사가 발생해 2차 수술과 부분층 피부이식수술을 받고 석고부목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퇴원했다. 이어 G병원에서 석고부목을 제거했으며 좌측 비골 감염성 불유합 및 골수염, 좌측 하지 총비골 신경 부분 마비 진단을 받고, 변연 절제술, 세척술, 금속 내 고정물 제거술 등의 수술을 받았다. 원고 주장 원고는 교통사고로 인해 응급 수술이 필요했지만 피고 병원은 응급실에 도착한지 14시간후 수술했고, 이로 인해 순환장애가 지속되.. 2017. 6.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