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골신경손상4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족하수…신경손상 원인 미궁 반월상연골판 봉합술 경위 원고는 회전점프를 한 후 착지하는 과정에서 왼쪽 무릎을 다쳤다. 원고는 이후 보행이 어려울 정도로 왼쪽 무릎의 증상이 악화되자 다음 날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슬관절 엑스레이 및 MRI 검사를 받았다. 의료진은 검사 결과를 토대로 좌측 무릎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었고, 내측 반월상연골판이 손상된 것으로 진단했다. 수술 후 경과 원고는 며칠 뒤 피고 병원에서 슬관절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및 내측 반월상연골판 봉합술을 받았는데 수술 직후부터 좌측 족하수 증상이 발생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이틀 뒤 원고에 대해 3D CT 검사를 실시했지만 별다른 특이사항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후 의료진은 원고에 대해 신경전도검사 및 근전도검사 등의 추가검진을 하지 않고 원고를 퇴원 조치했다. 퇴원 .. 2021. 11. 10. 무릎 연골수술 후 비골신경 손상 악화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무릎을 삐끗해 반월상 연골파열 봉합술을 받은 뒤 통증, 저린감 등이 발생해 2차 수술을 받았지만 통증이 계속되고, 다리관절 근력이 약화되는 장애가 발생한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1차 수술 과정에서 비골신경을 손상한 과실이 있는지, 2차 수술 후에도 환자가 통증 등을 호소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입니다. 원고의 수술 경위 원고는 작업 중 오른쪽 무릎을 삐끗해 우측 슬관절(무릎관절)에 통증이 있자 피고 병원에 내원해 약물치료를 받았습니다. 원고는 4일 뒤 피고 병원에 입원해 MRI 검사를 받은 결과 우측 슬관적 외측 반월상 전각부의 연골파열 진단을 받았습니다. 의료진은 3일 뒤 원고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1차 수술)을 시행하고, 3.. 2021. 10. 3. 골절 응급수술 받았지만 독립보행, 기립 불가…응급수술 거부, 전원의무 등 쟁점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의 발생 원인 외상 후 만성 골수염은 개방성 골절의 후유증으로 흔히 발생한다. 개방성 골절이란 골절 부위에 피부가 손상을 받아서 부러진 뼈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골절 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면 수많은 세균들이 직접 골절 부위에 들어갈 수 있고, 심한 개방성 골절에서는 찢어진 천 조각, 흙, 유리 조각 등 오염된 이물질이 손상 부위로 들어가는 경우가 흔히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아파트 베란다에서 추락해 대퇴골 개방성 골절 등으로 응급수술을 받았지만 만성 골수염, 비골신경 손상으로 독립보행과 기립 불가…응급수술거부, 상급병원 전원의무 위반 등이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아파트 베란다에서 추락해 피고 A대학.. 2019. 1. 3. 수술 과정에서 신경손상 의료과실 반월상 연골 파열로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비골신경 손상해 다리 통증, 저림 증상.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슬관절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및 외측 반월상 원판형 연골 파열 진단을 받고, 내측 반월상 연골 봉합술 및 외측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을 받고 퇴원했다. 원고는 9개월후 작업중 오른쪽 무릎을 삐끗해 우측 슬관절에 통증이 있어 다시 피고 병원에 내원해 약물치료를 받던 중 관절경하 우측 슬관절 외측 전각부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을 받았다. 이후 의료진은 부목을 제거하고 물리치료를 했지만 우측 슬관절 통증 및 발목 부종에 이어 심한 우측 다리의 통증, 저림, 피부색 변화, 체온 저하 등의 증상을 호소하자 수술부위에 압박스타킹을 착용하게.. 2017. 4.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