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차신경통3

삼차신경통 증상, 치료법, 후유증 의료사고 판단 삼차신경통 치료방법과 의료사고 판단 삼차신경통은 얼굴 부위 감각과 씹는 근육을 담당하는 뇌신경이 세 갈래로 나눠져 있어서 삼차신경이라고 한다. 첫 번째 신경은 이마와 눈 주위 감각을, 두 번째는 광대뼈 부위 감각을, 세 번째는 턱 주변 감각을 담당한다. 이 삼차신경이 뇌혈관, 종양 등 무언가로부터 압박을 받으면 심각한 통증이 일어난다. 삼차신경통이 발생하면 갑자기 얼굴에 전기 쇼크와 감전이 된 것 같거나 얼굴 전반을 칼로 찌르는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또 식사나 양치 중 특정 부위에 자극이 가면 얼굴 통증이 심하고, 가벼운 얼굴 접촉만으로도 참기 힘든 통증이 발생한다. 삼차신경통 치료 방법은 약물을 투여하거나 수술을 하는 것이다. 약물 치료에는 항경련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2023. 11. 7.
삼차신경통수술 받고 감각저하 사건 오른쪽 빰 부위 삼차신경통으로 개두술과 미세혈관감압술을 받고 눈과 코 주위 감각저하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미국에 거주하는 원고는 오른쪽 뺨 부위 통증으로 미국 병원에서 삼차신경통 진단을 받고 정도가 심해지자 진료를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신경과 의료진은 측두부 MRI 검사 결과 우측 전교 정맥이 삼차신경에 인접해 있으면서 삼차신경을 압박해 위와 같은 통증이 발생한다고 판단했고, 신경외과 의료진은 개두술 및 미세혈관감압술을 시행했다. 원고는 수술후 심각한 통증을 호소하지 않은 상태에서 퇴원했다. 원고의 주장 피고 의료진의 과실로 인해 극심한 통증과 안면마비 장애를 입었는데 이는 수술 과정에서 삼차신경통과는 무관한 다른 신경을 제거한 때문이다. .. 2017. 10. 27.
악성흑색종을 양성혈관종으로 오진한 의료과실 악성흑색종을 양성혈관종으로 오진해 뒤늦게 상악골 절제술, 방사선 치료, 항암치료 등을 받고 언어장애를 초래한 사건. 대한피부과학회지 2001;39:336-338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사랑니 치아 통증과 잇몸의 부기, 통증 등의 증상으로 내원했다. 의료진은 삼차신경통으로 진단하고 약물치료를 시작했는데 3주 뒤에 진료하기로 약속했는데 내원하지 않았다. 원고는 약 4개월 후 다시 내원해 이마, 안면, 볼, 목 아래쪽에 입을 움직일 때 찌릿한 통증이 있고, 오른쪽 어금니 부위 윗몸이 불편하다는 증상으로 내원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잇몸절제술을 시행한 후 조직검사(1차 조직검사)를 의뢰한 결과 악성 흑색종, 방추상 세포암종, 상괴 모양 혈관종.. 2017.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