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혜부탈장2

서혜부 사타구니 탈장 원인과 수술 의료과실 서혜부 탈장 진단 원고는 여아인데 왼쪽 외음부 부위에 부종과 종괴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피고 1병원 응급실로 데려갔다. 원고를 진료한 의사는 오후 7시 56분 경 좌측 서혜부(사타구니) 탈장으로 진단하고 1차 초음파검사를 처방했다. 서혜부 탈장이란? 정상적인 경우 복강 안에 장기는 복막 안에 존재하는데 장기가 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복강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탈장이라고 한다. 특히 태아의 고환(난소)은 초기에는 태아의 뱃속에 있다가 태아가 성장하면서 서혜부를 타고 내려와 음낭에 위치하게 되는데 정상아의 경우 고환이 내려온 길이 막히지만 일부는 이 길이 열린 상태로 태어나고, 구성이 커서 그곳으로 장이 빠져나올 경우에는 소아 서혜부탈장이 된다. 서혜부탈장 도수정복 실패해 정식 수술 오후 8시 58분 초.. 2022. 4. 6.
서혜부탈장 응급수술 지연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서 조기양막파수에 의한 응급 제왕절개수술로 임신 26주 만에 A를 출산했습니다. 출산 당시 A는 몸무게가 980g으로 초극소미숙아 상태였습니다. A는 출생 당시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 있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했고, 의료진은 기관내 삽관을 시행한 후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했습니다. 이후 산소포화도가 감소되는 소견을 보이자 고빈도 진동 환기요법을 시행하고, 신생아 폐고혈압지속증에 준해 일산화질소를 투여했습니다. 그 밖에 분만시 분비물 배양 검사에서 균이 배양되어 신생아 패혈증에 준해 항생제 치료를 시행했습니다. 의료진은 11월 22일 신생아중환자실 인큐베이터에서 무호흡 증세 등에 대해 치료를 하던 중 우측 서혜부 탈장 소견을 발견했습니다. 피고 병원 간호사는 12월 3일.. 2021.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