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섬유종3 섬유종 수술 후 혈압 저하…출혈 부위 지혈 지연 과실 수술 부위에 발생한 출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혈과 동시에 출혈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한 지혈조치가 필요하다. 지혈방법은 출혈 부위에 대한 압박 지혈, 혈관조영술을 통한 색전술, 수술 부위 재개방 후 출혈이 발생한 혈관을 찾아 결찰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 사례는 섬유종 수술 후 혈압이 상승하지 않아 수혈 등의 조치를 취하다가 뒤늦게 혈관조영술을 실시해 수술 부위 혈종을 확인하고 색전술을 시행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섬유종 수술 후 쇼크로 뇌손상 발생 사건 원고는 양쪽 어깨뼈(견갑골) 부위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일을 많이 한 날에는 통증이 심해 잠을 이룰 수 없자 피고가 운영하는 G병원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방사선 촬영 및 초음파 검사를 거쳐 양성 종양인 탄성 섬유종으로.. 2023. 6. 9. 환자 동의 없이 자궁적출한 의사 환자 동의 없이 자궁적출한 의사 이번 사건은 오른쪽 난소종양이 발견되자 수술을 받기로 하고 수술중 조직검사에서 양성 섬유종으로 확인되자 의료진이 양측 난소와 난관 절제술, 자궁적출술을 한 사안입니다. 쟁점은 의사가 조직검사에서 악성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양쪽 난소 제거, 자궁적출술을 하기로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실행에 옮겼는지 여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복부-골반 CT검사를 받은 결과 오른쪽 난소종양이 발견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 병원 의사로부터 양측 부속기(난소와 난관) 절제술, 전자궁적출술, 충수돌기 절제술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수술 도중 시행한 조직검사 결과 위 난소종양은 양성 섬유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자 원고는 피고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습니.. 2021. 4. 20. 유방암 항암후 전이 오진해 방사선치료 사진: pixabay 뇌연수막 암 전이 오진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기각, 대법원 상고 기각 원고는 오른쪽 유방의 혹을 발견하고, 피고 대학병원에서 수술을 받기 위해 의사인 ◇◇◇를 방문했다. ◇◇◇는 세침흡인 세포진검사와 절침생검 조직검사를 했고, 종괴의 크기가 6㎝인 침윤성 유방암으로 확진했다. 그러면서 '유방암이 너무 커서 수술을 할 수 없다'면서 '항암제 치료를 먼저 해 유방암 크기를 줄인 후에 수술을 하자'고 했다. 이에 따라 매월 1회씩 3회에 걸쳐 항암제 에피루비신을 투여하는 에피루비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했다. 그럼에도 종괴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자 보다 강한 2차 항암제인 탁솔과 나벨린 병합요법으로 약제를 변경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했다. 원고는 새벽에 화장실을 다녀오다가 손.. 2017. 9.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