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술중출혈4 다리 통증 하지정맥류 오진 사건 하지정맥류 진단 하지정맥류는 하지정맥의 탄력이 감소해 확장되고 정맥 내의 판막도 약해져 결국 혈액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 그로 인해 정맥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면서 정맥이 확정되어 정맥류(정맥이 혹처럼 확장되고, 부풀어 오른 것)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정맥류 오진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무릎과 다리 통증을 느껴 병원에 내원해 하지정맥류 진단을 받아 당일 하지정맥류 수술을 한 뒤 족부 괴사가 발생해 하퇴부를 절단한 사안이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환자에게 하지정맥류로 볼 만한 요인이 없었음에도 의사가 하지정맥류로 잘못 진단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하지정맥류 수술 후 하퇴부 절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좌측 무릎과 다리 통증을 느껴 피고 병원에 내원해 하지정맥류 진단을 받고 의사의 권유에 따라 당.. 2022. 9. 22. 직장암수술 의사의 주의의무와 의료과실 직장암수술 손해배상소송의 쟁점 가. 암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의사는 수술을 시행함에 있어 사전에 주변 장기의 손상 및 그로 인한 출혈에 대비한 만반의 조치를 취하고, 복강경 삽입경로에 인접한 동맥, 정맥과 충분한 거리를 두어 주변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림프절을 박리하고 혈관을 결찰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주요 혈관이나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박리 및 절제를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나.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직장암 수술 과정에서 대량 출혈이 발생해 환자가 사망에 이른 사례다. 사건의 쟁점은 수술을 하는 의료진이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아 대량출혈을 초래했는지 여부다. 직장암 진단받고 수술 결정 환자(당시 70대)는 약 7개월 전부터 발생한 항문 출혈.. 2022. 7. 14. 심방심실 중격결손 수술 후 저혈량성 쇼크, 심정지 심방중격결손 진단 받아 입원 원고는 태어난 지 1개월이 된 신생아로, 심방중격결손 및 심실중격결손 등의 진단을 받아 E병원에 입원했다. 그리고 소아심장과 전문의로부터 진료를 받고 흉부외과 전문의 등으로부터 심실중격결손 첩포 교정술, 심실중격결손 일차폐쇄술, 동맥관개존 결찰 등의 수술을 받았다. 수술 직후 혈압저하 현상 발생 원고는 수술 당일 12시 15분 경 중환자실로 옮겨졌는데 그 직후인 12시 20분 혈압이 80mmHg에서 50mmHg로 저하되었고, 대천문 함몰, 중심정맥압 6cmH2O였다. 원고는 혈압이 계속 떨어져 오후 1시 20분에는 48mmHg로 저하되었고, 오후 1시 55분에는 갑자기 29mmHg로 떨어졌고, 얼굴 청색증이 나타났다. 흉부배액관 출혈 징후 확인 또 오후 2시 30분에는 흉부배.. 2022. 5. 27.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출혈, 뇌부종 발생 스텐트 보조 코일색전술 경위 환자는 왼쪽 눈이 잘 떠지지 않는 불편과 좌측 두통을 호소하다가 피고 병원 신경과에 내원했다. 환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피고 병원에서 뇌 자기공명검사(MRI)와 뇌 자기공명혈관검사(MRA)를 받았다. 그 결과 왼쪽 중대뇌동맥의 비파열성 뇌동맥류 소견을 보였고,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했다. 뇌동맥류란? 뇌동맥류는 혈관 벽의 이상으로 혈관의 일부가 늘어나거나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뇌동맥류 중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를 비파열 뇌동맥류라 하고, 딸낭은 동맥류 중 모양이 불규칙해 동맥류의 벽이 늘어나 또 하나의 동맥류가 기존의 동맥류에 붙어있는 듯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코일색전술 도중 출혈 발생 피고 병원 신경외과 의료진은 딸낭(daughter s.. 2021. 12.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