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술후성대마비2 디스크, 신경공협착증 수술후 성대마비 경추 추간판 탈출증(디스크)과 신경공협착증 수술후 성대마비가 발생해 음성장애를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강제조정 사건의 개요 원고는 1년 전부터 좌측 견부, 상지 및 수부의 통증과 저림 증상이 있어 피고 병원 신경외과에서 좌측 제6-7번 경추간 추간판 탈출증과 신경공 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원고는 제6-7번 경추 전방 유합술과 고정술을 받았는데 수술 이후 목소리의 변화를 호소했지만 의사가 경과를 관찰하자고 하자 퇴원했다. 이후 원고는 피고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우측 성대마비 소견이 있다는 진료의뢰서를 발급받아 대학병원에서 성대 성형수술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 성대마비로 인한 음성장애로 평가받았다. 원고는 이 사건 수술 전에 우측 성대마비를 초래할 만한 특별한 원인.. 2020. 2. 23. 동맥관개존증 수술후 성대마비 초래한 의료과실 동맥관 개존증 수술 과정에서 반회후두신경을 손상해 영구적인 성대마비를 초래한 의료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가염성 심내막염, 동맥관 개존증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전원하였다. 동맥관개존 선천성 심장기형의 일종. 동맥관 개존은 출생 전 태아에서는 반드시 열려 있어야 하고 출생 직후에는 닫혀야하는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동맥관)가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선천성 심기형의 5-10%로 비교적 흔한 기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료진은 원고에게 체외 순환을 이용한 동맥관 폐쇄술을 하였다. 그런데 원고는 수술후 쉰 목소리 증세를 호소하였고, 이비인후과 검사에서 좌측 성대마비 진단을 받았다. .. 2020. 2.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