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테로이드제3

B형간염환자 급성 간부전…의사의 과실은? 만성 B형간염 바이러스 재활성화 만성 B형간염은 스테로이드제제와 같은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면역력이 저하되면 재활성화 위험이 높아진다.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 만성 B형간염이 악화(혈청 HBV DNA가 기저치의 100배 이상 증가) 또는 과거 B형간염의 재발(HBsAg 음성에서 양성으로 나타나거나 혈정 HBV DNA가 불검출에서 검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B형간염 환자에게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할 경우 면역 억제 정도가 심할수록 바이러스 재활성화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고, 조기 진단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아래 예시는 만성 B형간염 보유자가 크론병 진단을 받고 병원에서 고용량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한 이후 간염 바이러스가 재활성화 되면서 급성 간부전.. 2023. 1. 17.
B형 간염 보균자가 간부전으로 간이식 [스테로이드제 투약] B형 간염 바이러스 재활성화 검사 의무 이번 사건은 B형 간염 보균자인 환자에게 뇌농양 수술을 한 뒤 뇌부종으로 스테로이드제를 투약하면서 B형 간염 바이러스 재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지 않은 과실을 다툰 사안입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의료진에게 관련 검사를 하지 않은 과실이 있으며, 적어도 환자가 외래진료 당시 간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는 오심이나 구토가 발생할 경우 빨리 내원해 검사를 받도록 지도설명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60년대에 출생한 원고는 급성 B형 간염으로 치료받은 병력이 있는데요. 원고는 두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피고 병원 신경과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별다른 호전이 없었고, 이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습니다. 당시 원고는 B형 간염 .. 2021. 1. 28.
목디스크, 요추협착 수술후 하지 감각저하, 발기부전, 마미증후군 경추 디스크탈출증 및 후종인대골화증과 요추 신경관협착증 수술후 마미증후군 초래.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양측 엉치부터 허벅지까지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이 있었다. 그런데 교통사고로 허리를 부딪친 후 증상이 악화돼 피고 병원에서 신경관협착을 확인했다. 경추 MRI 검사 결과 경추 2~7번 디스크탈출증 및 후종인대골화증이, 요추 3~5번 신경관협착증이 확인되었다. 이에 의료진은 경추 2~7번에 대해 경추후궁성형술을 했다. 원고는 수술 다음날 양측 팔에 저린감이 있고 양측 다리 부위에 위약감이 있자 검사 결과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 의료진은 미세현미경을 이용한 요추신경관감압술을 하다가 척추부위를 완전히 절개해 원고의 3~4번의 후궁전절제술 및 요추 4.. 2020.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