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 정맥류 위장관 출혈로 토혈, 혈변 있다면
식도 정맥류로 인한 상부 위장관 출혈 조치 과실 식도 정맥류는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터지면 피를 토하는 토혈, 혈변을 보고, 심하면 출혈성 쇼크에 빠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 식도와 위 정맥류 등이 원인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면 수액을 공급하고 수혈, 지혈제 투여 등을 한 뒤 빠른 시간 안에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해 출혈 위치를 확인하고, 결찰술이나 경화요법, 풍선탐폰법 등으로 신속하게 치료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상부 위장관 출혈 소견을 보인 환자에 대해 신속하게 내시경 검사를 해 출혈 지점을 확인한 뒤 지혈 조치를 하지 않아 저산소성 뇌 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상부 ..
2023. 8. 14.
식도정맥류, 위정맥류 발견돼 글라이프레신 투여후 저나트륨혈증 초래
저나트륨혈증 우리 몸은 체중의 60%가 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1/3은 세포 바깥에, 2/3는 세포 안에 존재한다. 세포벽을 사이에 두고 세포 안과 밖을 오고 가는 물의 이동은 혈액의 삼투질 농도(Osmolarity, Osm)에 의하여 결정된다. 우리 몸의 수분이 과다할 때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이뇨제 사용, 구토, 설사, 췌장염, 장관폐쇄, 화상, 과도한 발한, 출혈, 갑상선기능 저하증,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 신증후군, 코르티코이드 호르몬 이상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환자는 간세포암으로 정기적인 진료를 받았고, 4년 뒤 검은색 변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위내시경..
2018.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