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경근차단술4

후종인대 골화증 약물·수술 치료, 유의할 점 유종인대 골화증 증상, 치료방법, 의사의 의무 A 씨는 양쪽 다리에서 저린감이 발생하더니 두 달 뒤부터는 통증까지 발생했고, 한 달 여 뒤에는 근육의 힘이 빠지는 근 위약 증상이 동반되었다. 여기에다 허리와 다리 통증, 다리 허약감, 다리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배뇨 및 배변 장애까지 발생하자 결국 K 병원에 내원해 진료를 받았다. A 씨는 K 병원에서 MRI 검사를 한 결과 척추관 협착증을 동반한 후종인대 골화증, 황색인대 골화증 진단을 받고 수술을 했다. 하지만 수술 후 다리 마비, 배뇨감각 저하, 배뇨 장애, 요실금, 발기부전 등의 진단을 받았다. 후종인대 골화증으로 수술한 뒤 위와 같은 후유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후종인대 골화증은 척추의 뒤쪽과 척추관의 앞쪽에서 지지하는 후.. 2024. 3. 14.
요통, 방사통 허리 디스크… 수술 전 알아둘 점 허리 디스크 증상과 치료방법, 주의사항 허리 디스크(요추 또는 천추(엉치뼈) 추간판탈출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 통증인 요통과 하지 방사통, 다리 저림 등이다. 방사통은 디스크로 인해 다른 부위, 예를 들면 다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허리 디스크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바로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치료를 할지는 의사가 MRI 등의 검사와 환자의 나이, 증상의 정도, 합병증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하는데 통상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한다.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선택적 신경근차단술 등을 고려하게 된다. 선택적 신경근차단술이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근 주위에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주입해 통증 신호를 차단해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방법이다. .. 2024. 2. 3.
추간판탈출 디스크 신경근차단술 의료과실 사지마비에 대한 시술상 과실 판단 기준(대법원 99다66328 판결)) 의료행위는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고, 보통인으로서는 의사의 의료행위 과정에 주의의무 위반이 있는지 여부나 그 주의의무 위반과 손해발생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밝혀내기가 극히 어려운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시술 직후 갑자기 사지가 마비되는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증상 발생에 관해 의료상의 주의의무 위반행위를 제외한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여러 간접사실들을 입증해 그와 같은 증상이 의료상의 주의의무 위반행위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신경근차단술 뇌로부터 내려오는 신경조직이 각 디스크 부위에서 줄기로 나뉘는 부분을 신경근(root)이라고 하는데, 신경근 차단술(nerve .. 2022. 7. 23.
신경차단주사를 받는 과정에서 척수경색이 발생, 사지마비와 연하장애 의료진이 경추부 신경근차단술을 하면서 신경근동맥을 바늘이나 조영제 등으로 지나치게 압박, 자극해 척수경색으로 사지마비 등의 장애를 초래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양팔 바깥쪽과 왼쪽 목 부위의 저린 증상이 심해지자 피고 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해 경추 제5-6번, 척추증 및 좌측 제5번 경추근 병증이라는 진단을 받고 통증클리닉 마취과 전문의로부터 경부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받았다. 또 며칠 후 경막외 신경 차단술과 좌측 견갑상 신경차단술을 받았는데 그후에도 통증이 계속되자 경추 제5번 신경근 차단술을 받았다. 그런데 스테로이드제와 국소마취제를 주입한 후 수분 뒤 호흡마비, 의식소실, 전신마비 등의 증세가 나타났고, 앰부배깅 등 응급조치 등을 하.. 2017.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