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장내과3 혈액투석 비용과 산정특례, 환자 유의할 점 당뇨병이나 고혈압, 신장병 등으로 콩팥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소변으로 나가야 할 노폐물이 몸에 쌓이게 된다. 대한신장학회에 따르면 만성 콩팥병이 진행해 말기 신부전이 되면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혈액투석(신장투석)이나 신장이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혈액투석(hemodialysis)은 환자의 혈액을 끌어내어 투석기계에 순환시키면서 혈액 속의 노폐물과 과잉 축적된 수분을 제거한 뒤 다시 체내로 돌려주는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투석은 인공신장실에서 1회당 4시간, 주 3회 시행한다. 혈액투석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혈액투석 환자 수는 2018년 6만 8,090명에서 2021년 7만 9,272명으로 늘었고, 2022년에는 8만 명을 돌파해 8만.. 2024. 9. 19. 레지던트가 과로, 수면부족, 스트레스로 사망…전공의 보호업무 위반 고인은 수련병원에 근무한 4개월간 며칠을 빼고는 매일 24시간 병원에서 상주하면서 근무했다. 공식적인 근무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였지만, 오후 6시 이후에도 당직실에 대기하면서 계속 근무 했다. 따로 특별히 휴게시간이 주어지지 않았다. 고인은 당직실에서 대기하는 도중 틈틈이 잠을 잤고, 취침 시간이 불규칙하거나 하루 고작 3~4시간 수면을 취했다. 약 4개월 동안 하계휴가로 5일을 보낸 것을 제외하고는 하루 정도 아내와 돌이 갓 지난 아들이 있는 집에 갔고, 나머지 기간에는 항상 수련병원에 상주하면서 하루 20시간 가까이 근무했다. 고인은 과로와 수면부족, 업무스트레스로 목숨을 끊었다. 유족은 해당 수련병원에 10억여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확정된 금액은 채 6억원이 되지 않았다. 사건.. 2017. 9. 20. 슬관절 관절경적 절제술 이후 다발성 장기부전, 사지 말단 괴사, 패혈증으로 사망 (패혈증 사망)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대법원 상고 기각 인정 사실 원고는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후진해 오던 차량에 부딪혀 오른쪽 슬관절부 내측 연골판후각부 파열과 외측 연골판 전각부 파열 등의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원고는 전신마취 아래 피고 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J의 집도로 오른쪽 슬관절에 대한 관절경적 절제술을 받았다. 수술후 환자의 혈압이 상승하자 중환자실로 전실했고, 소화기내과 의사 K는 원고가 심각한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DIC) 상태로 이미 상당한 다발성 장기부전이 진행됐다. 또 우발적 감염을 동반하고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단 그람음성균은 가장 면역반응이 적은 퀴놀론 제제로 대처하고, 바이러스성 감염 가능성에 대해서는 스테로이드나 면역 글로블린.. 2017. 6.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