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킬레스건2 아킬레스건 봉합수술 과정의 의료과실 아킬레스 힘줄 몸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힘줄로 길이는 약 15cm이고, 장딴지근의 힘살(belly)이 끝나는 장딴지의 중간에서 납작한 널힘줄(aponeurosis)로 시작된다. 발꿈치뼈에서 2~6cm 위에 있는 힘줄의 중앙부에서 파열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데, 이곳은 혈액이 잘 공급되지 않는 부위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병원 신체기관정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약 2개월 전부터 까치발이 되지 않는 증상으로 피고 대학병원을 방문해 우측 아킬레스건 파열 진단을 받고 정형외과에서 아킬레스 건 봉합술을 받았다. 그런데 1차 수술 부위에 가로세로 약 1cm 크기의 가피(딱지)가 떨어져나가 아킬레스 건이 드러나 보이는 상태가 됐고, 성형외과 진료 결과 아킬레스건 .. 2018. 12. 7. 근육파열 수술과 혈관문합술 후 구획증후군으로 관절강직 장해 근육 괴사와 구획증후군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만취 상태에서 정신을 잃은 채 우측 무릎 후방 부위 및 종아리 열상을 입고 피고 병원에 후송돼 근육 파열에 대한 근육봉합술 및 슬와동맥 파열에 대한 혈관문합술을 받았다. 당시 원고의 슬와동맥은 거의 파열된 상태였다. 원고는 중환자실로 옮겨져 지속적으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3일 후 우측 족지의 감각이 없는 것을 직접 확인하고, 구획증후군을 의심해 혈관조영검사를 시행한 후 근막절개술을 시행했다.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근육들을 감싸는 질긴 막의 조직을 근막이라고 한다. 근막들이 연결되어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주머니 안에 근육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팔이나 다리 안에는 구획이라.. 2017. 9.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