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면경련2 안면경련 치료와 수술후 난청 청각장애 부작용 안면경련 치료법과 부작용 안면경련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약물요법, 보톡스 주사요법 등이 있지만 가장 유효한 방법은 미세혈관 감압수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물치료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는 있지만 오히려 악화될 수도 있고, 보톡스 치료 역시 3~4개월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아니다. 미세혈관 감압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안면신경이나 전정신경은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빈도가 매우 낮지만 청신경은 가장 약해 쉽게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미세혈관 감압술을 시행하면서 청력상실이 되는 빈도는 보고자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2~4% 정도다. 안면경련 치료하는 의사의 책무 (1) 수술 과정에서 신경을 손상하지 않을 주의의무 미세혈관 감압수술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청각신경을 손상시켜 청력상실이라는.. 2023. 2. 2. 안면경련 진단후 미세혈관감압술 받고 안면신경 마비, 청력상실, 이명 환자에게 의료행위 이전에 악결과의 원인이 될 만한 건강상의 결함이 없었다는 사정을 증명한 경우 의료행위를 한 측이 그 결과가 의료상의 과실로 인한 게 아니라 전혀 다른 원인으로 말미암은 것이라는 입증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는 이상 의료상 과실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거나 그 결과의 발생에 의료상의 과실 이외의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간접사실들을 입증해 의료상 과실에 따른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게 대법원의 판례다. 다만 그런 경우에도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결과 발생을 추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는 사정들을 가지고 막연하게 의사의 과실과 인과관계를 추정해 의사에게 무과실 입증책임을 지우는 것까지 허용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 2018. 10.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