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열상8 머리 열상 소아 봉합하면서 호흡곤란으로 기도폐색 질식 소아는 봉합술 등 통증이나 공포를 유발하는 시술을 할 때 협조적이지 않기 때문에 진정제나 수면제를 이용해 진정시키거나 재우거나 아니면 손이나 발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큰 천으로 몸을 싸 움직임을 억제하고 시술한다. 천을 이용해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시술할 때에는 기도 폐색 등에 의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 상태를 세심히 관찰하고 호흡억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자세를 피해야 한다는 게 법원의 판단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소아인 원고는 야외 벤치에서 넘어지면서 머리를 바닥에 부딪혀 피고 병원에 내원했고, 당직의사는 단순한 길이 2cm의 두피 열상만을 확인하고, 상처부위 봉합술을 시행했다. 수술 당시 원고는 온 몸이 천으로 감기고, 가슴과 머리 아래에 베개.. 2018. 10. 2. 근육파열 수술과 혈관문합술 후 구획증후군으로 관절강직 장해 근육 괴사와 구획증후군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원고는 만취 상태에서 정신을 잃은 채 우측 무릎 후방 부위 및 종아리 열상을 입고 피고 병원에 후송돼 근육 파열에 대한 근육봉합술 및 슬와동맥 파열에 대한 혈관문합술을 받았다. 당시 원고의 슬와동맥은 거의 파열된 상태였다. 원고는 중환자실로 옮겨져 지속적으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3일 후 우측 족지의 감각이 없는 것을 직접 확인하고, 구획증후군을 의심해 혈관조영검사를 시행한 후 근막절개술을 시행했다.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 근육들을 감싸는 질긴 막의 조직을 근막이라고 한다. 근막들이 연결되어 주머니를 형성하고, 그 주머니 안에 근육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팔이나 다리 안에는 구획이라.. 2017. 9. 11. 반월상연골절제술 후 관절강직 등 초래한 의료과실 무릎관절 통증으로 슬관절 반월상 연골 절제술, 연골 성형술, 슬관절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을 받은 뒤 관절강직이 발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우측 슬관절(무릎관절)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서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열상 진단을 받았다. 이에 피고 병원에서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절제술 및 연골 성형술을 받고, 일주일 후 우측 슬관절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을 받았다. 무릎관절(슬관절) 넙다리뼈, 정강뼈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 무릎뼈 사이를 이루는 경첩 모양의 관절. 무릎관절은 넙다리정강관절과 넙다리무릎관절로 이루어진다. 넙다리정강관절은 정강뼈와 넙다리뼈의 관절면이 접촉하여 경첩 형태의 관절을 이루며 무릎의 폄과 굽힘 운동에 관여한다... 2017. 9. 10. 음주 후 다발성 열상, 신경 파열 환자가 봉합 위해 마취 투여후 심정지 음주 후 다발성 열상, 신전건, 정중신경, 척골신경 파열 환자가 봉합술을 받기 위해 마취 투여한 후 심정지로 뇌손상.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취하 사건의 개요 원고는 친구들과 함께 술을 마시고 회사 기숙사로 돌아오던 중 일행과 시비를 하다가 홧김에 오른손 주먹으로 유리창을 쳐 오른손과 팔에 상처를 입고 피고 병원 응급실에 왔다. 병원 응급실 의사는 원고의 상처 부위를 소독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 다음, 방사선 검사 및 이학적 검사 등을 시행한 결과 우측 전완부 다발성 열상, 우측 제3수지 신전건 파열, 우측 정중신경 파열 및 우측 척골신경 부분파열 등으로 진단했다. 피고 병원 의사들은 원고를 전신 마취한 다음 피부, 신경, 근 봉합술을 시행하기 위해 마취를 .. 2017. 8. 28. 각막 열상 및 전방출혈 환자 수술후 영구실명 (망막 박리)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원고는 철사로 된 머리띠를 가지고 놀다가 머리띠 끝 부분이 튕기면서 우측 눈을 찔러 출혈이 발생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내원 당시 원고는 우측 눈 각막 부분에 열상이 관찰되고, 열상 부분으로 홍채의 일부분이 탈출되었으며, 각막과 홍채 사이의 방수 누출로 인해 전방 깊이가 얇아졌고, 출혈로 인해 수정체, 유리체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보였다. 이에 피고 병원 수련의 3년차인 한○○는 원고에 대해 우안 각막 열상 및 우안 외상성 전방출혈로 진단하고, 응급으로 원고를 전신 마취한 뒤 우안 각막 열상에 대한 봉합술 및 외부로 탈출되어 괴사된 홍채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다. 위 수술 당시 다량의 전방 혈액 응괴는 제거하지 못했다. 수술후 원고의 찢.. 2017. 8.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