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아종3

유방확대술 3개월 뒤 괴사, 육아종 이번 사례는 3차례에 걸쳐 자가지방이식을 통한 유방확대술을 받은 뒤 유방에서 괴사와 육아종이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팔을 들어 올리기도 힘든 후유증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사가 유방확대술을 하는 과정에서 의료상 과실이 있었는지, 시술 이전에 충분하게 부작용 등을 설명했는지 여부입니다. 인정사실 원고는 지인의 소개로 피고가 운영하는 의원에 내원해 유방확대술 상담을 받았습니다. 그러자 피고는 원고의 복부, 허벅지 등에서 지방을 추출해 유방에 이식하는 자가지방 이식을 통한 유방확대술을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원고도 피고 의원의 설명대로 유방확대술을 받기로 했는데요. 피고 의사는 원고의 팔과 허벅지 등에서 지방을 추출해 다음 날 원고의 이마와 양쪽 유방에 지방을 나누어 이식했습니다(1차 지방이식)... 2021. 7. 26.
간암의 폐전이로 판단 개흉술 했지만 크립토콕쿠스 감염…조직검사 안한 과실 크립토콕쿠스증 크립토콕쿠스 네오포르만스라는 효모형 진균에 의한 감염 질환. 이 진균은 조류, 특히 비둘기와 닭이 있는 전 세계 영역의 토양에서 발견된다. 사람의 감염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크립토콕쿠스의 담자홀씨가 호흡 과정에서 폐로 흡입되어 시작된다. 면역 체계가 정상인 사람은 면역체계에 의해 감염원이 제거되거나 폐에만 국한되어 무증상 상태로 남게 된다. 그렇지만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폐 감염(폐 크립토코쿠스증)이 발생하거나 중추 신경계로 감염이 확산되어 수막염이나 크립토콕쿠스종Cryptococcoma)과 같은 중추 신경계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간암의 폐전이로 판단 개흉술을 했지만 크립토콕쿠스 감염…조직검사 안.. 2019. 1. 18.
기관튜브 교체하면서 제대로 고정하지 않아 질식한 사례 바이러스성 뇌염환자의 기관튜브를 교체하면서 제대로 고정하지 않아 질식사한 사례.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소, 2심 원고 일부 승소 사건의 개요 환자는 바이러스성 뇌염 진단을 받고 I병원에서 기관절제술과 위루술(PEG)을 받고 2개월 가량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가 J병원으로 전원하였다. 환자는 I병원에서 퇴원할 무렵 혼수상태였고, 자가 호흡이 충분하지 않아 보조를 요했으며, 기도내 육아종이 기관이 분지되는 부위까지 파급된 상태였다. 이에 기관 튜브를 분지 부위까지 깊게 넣어 기관직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고 있었다. 피고 병원은 요양병원에 입원중이던 환자가 기관 튜브 교체를 위해 내원하자 튜브를 교체했고, 내시경으로 기관 개방성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환자는 재활치료를 .. 2017.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