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공관절치환술14

관절염 인공관절 수술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점 말기 관절염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손상된 관절을 특수 제작한 인공관절로 대체해 통증을 없애고, 정상적인 관절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인공관절 전치환술 내지 반치환술이다. 그러나 수술 후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인공관절 수술 후 섬망, 통증 지속B는 약 20년 전 다친 어깨에서 지속적으로 통증이 발생하자 K 대학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게 되었다.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에 대해 오른쪽 상완(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 골두에 회전 이상을 동반한 무혈성 괴사로 진단했다. 무혈성 괴사란 피가 통하지 않아 뼈조직이 죽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서 의료진은 오른쪽 어깨 인공관절 반치환술을 권고하면서 환자에게 입원하도록 했다.  인공관절 반치환술은 관절 일부만 손상되었을 때 정상.. 2024. 6. 24.
인공관절수술 후 통증 등 부작용, 유의할 점 인공관절수술 적응증과 수술 후 증상, 의사 주의의무 무릎이나 어깨, 고관절 등의 연골이 파열되거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관절이 닳거나 손상되어 통증이 동반되면 우선적으로 비수술적인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약물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해서 통증이 개선되지 않으면 인공관절치환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인공관절수술은 보통 연골이나 뼈가 닳아 망가진 부분을 제거한 뒤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인공관절치환술 적용 부위 인공관절치환술은 주로 어깨, 무릎, 고관절(엉덩 관절)에서 시행한다. 어깨 인공관절치환술은 류머티즘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 어깨의 통증이 심하거나 복원이 불가능할 정도로 어깨 근육 및 뼈가 파열된 환자에게 적용한다. 무릎 인공관절치환술은 다리가 심하게 휘거나, 일상생활이 힘.. 2024. 2. 6.
골다공증 있는 노인 대퇴부 골절수술 주의점 골다공증 노인 골절 수술할 때 고려할 점 고령인 데다 골다공증이 있는 상태에서 대퇴골 골절 사고를 당해 골절 부위 고정 및 핀 삽입 수술을 했지만 골절 부위가 유합 되지 않아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런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은 내고정물을 삽입 하더라도 골절 부위가 유합 되지 않을 수 있어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한 골절 부위 내고정물을 삽입하고 판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불유합이나 부정 정렬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 대퇴부 골절 사고를 당해 수술을 했지만 불유합이 발생해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안이다. 골다공증 .. 2023. 12. 1.
고관절 괴사 인공관절치환술과 부적절한 수술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와 치료방법 엉덩이 관절을 이루는 넓적다리 뼈의 둥근 윗부분을 대퇴골두라고 하며, 대퇴골두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뼈 조직이 썩고,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라고 한다. 괴사 초기 범위가 작고 괴사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효과가 없으면 인공관절수술, 감압술, 골이식술 등의 수술이 필요하다. 아래 사례는 오른쪽 하지(엉덩이부터 다리까지) 통증으로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진단을 받아 고관절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뒤 다른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허리 디스크인 것으로 확인된 사안이다. 엉덩이나 다리 등 하지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허리 디스크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고, 잘못.. 2023. 2. 10.
뇌동맥류 파열 응급처치 과실과 기대여명 이후 생존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공관절치환술 시술 환자는 슬관절(무릎관절) 퇴행성 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에 입원해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았다. 환자는 수술 7일 뒤 오후 9시 40분 경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던 중 두통을 호소하면서 쓰려졌고, 이를 발견한 간병인의 호출에 따라 간호사들이 환자를 침대에 옮겨놓았다. 환자는 화장실에서 쓰러진 이후 두통, 구역감, 시야 흐림 증상이 나타났고, 오후 10시 5분 경 정신상태 혼수, 좌측 수부 운동 약화, 구토 증상을 겪었다. 오후 10시 20분 경에는 운동 및 감각 소실이 나타났다. I병원 후송 이후 경과 의료진들은 환자에게 산소 투여, 배뇨관 삽입, 경도기구유지기구 삽입, 스테로이드제 정맥주사 등의 치료를 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상태가 .. 2021. 1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