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공판막2 대동맥류에 대해 인조혈관, 인공판막수술 후 급성경색 뇌사 대동맥판막 역류가 동반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A형 대동맥 박리로 인한 상행 대동맥류에 대해 인조혈관 교체, 인공판막 대체,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궁 치환술, 인조혈관삽입술, 인공판막수술을 한 뒤 환자가 뇌사로 사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고혈압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를 받던 중 대동맥 박리 드베키 3형 또는 스탠포드 B형 진단 아래 복부 대동맥 창냄술 및 스텐트 삽입술과 좌측 신장 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받고 피고 병원에서 외래 진찰을 받아왔다. 환자는 9년 뒤 대동맥판막 역류가 동반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A형 대동맥 박리로 인한 상행 대동맥류로 진단 받고 수술을 하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대동맥 박리 대동맥은 심장에서 몸 전체로 혈액을 공급하는 매우.. 2019. 12. 22. 인공판막치환 수술후 사망…혈액응고검사, 설명의무 범위 쟁점 승모판 역류에 대해 인공판막치환 수술후 사망…항응고제 관리 소홀, INR 유지 범위, 안내서 교부와 설명의무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파기환송, 2심 화해 권고 기초 사실 원고는 9살 때 호흡곤란으로 피고 대학병원 소아과에서 치료를 받은 것을 시작으로 정기적인 검진 및 처방을 받아왔다. 환자는 심한 승모판 역류 증상을 보여 피고 병원에서 인공판막치환술(1차 수술)을 받았고, 수술 부위에서 출혈이 생겨 지혈을 위한 2차 수술을 한 후 퇴원했다. 이후 호흡곤란이 심해져 의식을 잃었고, 119 구급차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도착했지만 응급실 의사는 시간이 없으니 가까운 큰 병원으로 갈 것을 권유해 전원했다. 하지만 이 병원 응급실 담당 의사도 환자 가족들.. 2017. 5.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