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궁경부5

자궁경부암 증상과 수술 부작용, 유의사항 자궁경부암 증상과 치료방법, 의사 준수사항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으로 인해 질과 연결된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한 약성종양을 말한다. 이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 외에 생식기 사마귀, 질암, 항문암, 음경암 등의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남성도 주의가 필요하다. 초기 자궁경부암은 전혀 증상이 없는 경우가 흔하고, 불규칙 출혈, 지속적인 질 출혈, 붉은 질 분비물, 성교 후 출혈이 발생한다. 암이 진행되면서 성교 후 질 출혈, 악취를 동반한 질 분비물 증가, 심각한 궤양, 골반통, 배뇨 관란, 혈뇨, 요통, 하지 통증, 체중 감소 등이 있을 수 있다. 많이 발생하는 연령은 20세 이전에는 발병이 드물고, 30세 이후부터 50대까지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자궁경부암 진단과 치료 진.. 2024. 2. 29.
자궁동맥 색전술 중 폐부종 사망…동정맥루 진단 못하고 설명의무 위반 자궁동맥 색전술 중 색전물질인 '젤폼'을 주입한 뒤 폐동맥을 막아 폐부종으로 사망…동정맥루 진단 못하고 설명의무 위반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자궁경부 임신 12주 진단을 받고 항암성 종양제 MTX를 투여해 수정란을 고사시킨 후 소파술을 받기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당시 환자에게 자궁경부 앞쪽에 치우쳐서 착상된 태아가 발견돼 자궁경부임신 12주로 확인됐다. 병원은 오후 4시경 MTX를 투여하고, 다음날 자궁동맥 색전술을 시행하기 위해 혈관조영술을 하던 중 혈류가 많이 발달되어 있었고, 자궁동맥이 비대되어 있었고, 자궁 전반 특히 경부 부분에 과다혈관성 조직증강이 관찰되었다. 자궁근종 색전술[embolization of uterine myoma ] 자궁근.. 2017. 8. 16.
흡입분만 출산후 신생아 뇌손상 입자 제왕절개를 하지 않은 과실을 주장 (분만 의료분쟁) 손해배상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대법원상고 기각 원고는 초산모로서 피고들 의원에 입원한 다음 진찰을 받았는데 자궁경부가 1.5횡지 개대되었고, 불규칙한 자궁수축 외에는 특이한 소견이 없었으며 태아의 심박동수도 정상이었다. 피고들 의원 의료진은 분만의 진행이 다소 늦자 원고에게 유도분만제인 '옥시토신' 10unit를 하트만솔류션 용액 1리터에 혼합해 투여했다. 피고는 23:10경 원고를 분만실로 옮겼는데 분만과정에서 원고가 배에 힘을 주지 못하자 실리콘흡입분만기를 1차례 사용한 흡입분만으로 분만했다. 신생아의 출생 몸무게는 3800g으로 정상적이었고, 분만과정에서 태아심박동수가 같은 날 22:45경 분당 96회로 떨어졌다. 그러나 22:50경 분당 127회, 23:00경 분당 .. 2017. 7. 25.
상피내암 수술후 자궁적출술, 림프절 절제술하고 인공배뇨관으로 소변 자궁경부 상피내암 수술후 자궁적출술, 림프절 절제술하고 인공배뇨관으로 소변…요의감 상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D에서 시행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결과 '자궁목의 형성 이상'이라는 진단을 받고 정밀검사를 받기 위해 피고 재단이 운영하는 병원을 방문하였다. 원고는 위 병원 소속 의사로부터 자궁경부 질 확대경 검사 및 조직검사 등을 받았다. 피고 의사는 위 조직검사 결과 자궁경부 상피내암이라고 진단하고, 원고에 대하여 자궁경부 원추형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피고는 위 수술 후 다시 시행한 조직검사 결과 침윤성 자궁경부 악성신생물이라고 진단하고, 원고에 대하여 복강경으로 광범위 자궁 적출술 및 양측 골반 림프절 절제술(1차 수술)을 시행하였다. 위 수술 후 원고에게 출혈이 관.. 2017. 7. 10.
간호조무사에게 의료행위 지시한 의사 면허정지 복지부 면허정지 3개월 처분…법원 "의료법 엄격한 적용 필요" 간호조무사에게 자궁경부암 진단을 위한 시료 채취를 지시한 원장이 면허정지 3개월 처분을 받았다. 서울행정법원 제7부(부장판사 송우철)는 산부인과의원 원장 A씨가 복지부를 상대로 자격정지처분 취소소송을 청구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A원장은 2010년 7월 의원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로 하여금 이모 환자의 질내 시료채취 및 자궁경부 확대촬영을 하도록 지시했다. 이 때문에 A원장은 의료법 위반으로 기소돼 법원으로부터 벌금 200만원의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했다가 취하했다. 그러자 복지부는 지난해 6월 A원장이 의료법 위반행위를 했다며 3개월 자격정지처분을 내렸다. 이에 대해 A원장은 "복지부가 의료법 위반행위를 인지한 후 약 2년간 .. 2017.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