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잔료3 관상동맥 우회로술 후 사지부전마비 요추협착증 진단을 받고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한 뒤 사지부전마비로 재수술을 받은 뒤 사지마비, 배뇨시 잔뇨가 남는 신경인성 방광 후유장애. 수술 도중이나 수술후 환자에게 중한 결과의 원인이 된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의사의 과실로 인한 결과 발생을 추정할 수 있을 정도의 개연성을 담보하지 않은 사정들을 가지고 의사에게 무과실 증명책임을 지우는 것까지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07다41904)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걸을 때 불편하고 오래 서 있기가 힘들어 피고 병원을 내원해 심한 척추관협착증, 경추 추간판탈출 및 척수압박 의증, 요추 디스크 팽윤 소견이 관찰되었다. 의료진은 원고에게 관상동맥이 막혀 있으니 개흉관상동맥우회로술, 좌측쇄골하동맥우회로술을.. 2018. 9. 18. 추간판탈출증에 대해 침도요법 침술 받고 허리통증, 배뇨장애, 잔뇨 초래 (침도요법 과실)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원고는 교통사고로 추간판탈골증 판정을 받은 적이 있고, 2010년 봄에 000병원에서 허리 신경차단술을 받았다. 원고는 2010. 9.경부터 등, 허리, 다리의 통증이 있었는데, 그해 11. 초순경 일하다가 부딪힌 이후 등, 허리의 통증 및 왼쪽 다리가 당기는 증세가 심해졌다. 원고는 2010. 11. 10. 00병원에서 MRI 촬영을 하였는데, 혈종은 발견되지 않았고 의료진으로부터 추간판탈골증 치료를 위한 허리수술을 권유받아 피고 한방병원을 방문했다. 피고 병원의 의사는 원고의 3번 요추 옆 근육에 대해 침도요법을 했다(끝이 수평이고 칼날형태인 가늘고 긴 침을 피부 바깥쪽으로부터 관절의 유착 부위로 삽입, 유착 부위를 박리함과 동시에 .. 2017. 8. 8. 요실금수술 중 방광게실 방광염…노동능력상실률 산정기준 요실금 테이프수술 절개부위 염증으로 방광게실 방광염…노동능력상실률 산정기준은?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소, 2심 원고 일부 승소, 대법원 원심 파기 환송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여성의원에서 복압성 요실금 진단을 받고 요실금 테이프 수술을 받았다. 이후 빈뇨와 잔뇨 증상, 복부를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으로 다시 내원해 진통제를 처방받았지만 호전이 없자 피고의 소개로 대구에 있는 여성의원 본점에서 검사한 결과 좌측 방광벽에 출혈이 있음을 발견했다. 피고는 방광 안에 유치 카데타를 설치하고 소변기를 달아 2~3일 경과를 지켜보기로 했지만 호전되지 않았다. 그 무렵 피고는 원고의 질 안의 수술 절개부위에 염증이 생겨 벌어지면서 요실금 테이프가 나와 있는 것을 발견했지만 처치를 하지 않았다. .. 2017. 4.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