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골절2 다발성 골절 수술 후 무릎 관절운동 중 재골절 발생 이번 사례는 교통사고로 다발성 골절 진단을 받고 수술을 한 뒤 무릎관절 운동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수동적 관절운동을 하던 도중 재골절이 발생해 재수술을 받은 뒤 운동범위가 좁아진 사안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환자를 상대로 관절운동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교통사고를 당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고, 우측 대퇴골 경부 골절, 우측 대퇴골 몸통골절 및 우측 슬개골 다발성 골절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에 의료진은 대퇴골 경부 골절에 대해 고관절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했습니다. 또 일주일 뒤 우측 대퇴골 몸통골절 및 우측 슬개골 골절에 대해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했습니다. 원고는 그 후 퇴원했다가 재활치료를 위해 두 달 후 .. 2021. 7. 13. 골절수술후 신경마비 장애 초래…환자 증상 무시한 간호사도 과실 골절 수술후 통깁스한 뒤 신경마비 장애 초래…환자 증상 무시한 간호사의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자전거를 타고 가던 중 넘어져 우측 경골 분쇄골절상을 입고 피고가 운영하는 ○○신경외과정형외과의원에 입원했다. 이 사건 의원에서 고용의사로 일하고 있던 피고 2는 원고의 골절 부위에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핀내고정술(1차 수술)을 한 후 반깁스를 했고, 원고는 수술 부위에 부종이 빠지자 반깁스를 제거하고 통깁스를 했으며, 이후 의원에서 퇴원했다. 그런데 한달여 후 원고의 골절 부위가 재골절되어 뼈 조각이 전위되는 현상이 발생한 바람에 피고 의원에 다시 내원했다. 피고 2는 같은 날 통깁스를 제거하고 원고의 재골절 부위에 관혈적.. 2017. 8.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