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종아리성형3

종아리근육 퇴축 성형수술 후유증 소송 사건의 쟁점 가. 종아리 퇴축술 방법 종아리를 이루는 근육 중 가장 많은 용적을 이루는 게 비복근과 가자미근이다. 종아리가 비대되어 있으면 종아리 근육 중 비복근의 내측 갈래와 외측 갈래 자체를 절제하거나 그 지배신경을 부분적으로 절제해 근육의 위축을 기대할 수 있다. 아니면 고주파를 이용해 비복근의 내측 갈래와 외측 갈래 일부를 파괴시켜 근육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아리 퇴축술은 수술적 방법과 비수술적 방법이 있다. 수술적 방법은 비복근 절제술, 고주파를 이용한 비복근 소작술, 비복근 운동신경절제술이 있다.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고농도 알코올을 이용한 신경차단술, 고주파를 이용한 신경차단술 등이 있다. 나. 종아리 신경차단술 사건의 쟁점 이번 손해배상청구소송은 피고 의원에서 고주파를 이용한 신경차.. 2022. 7. 11.
종아리성형 근육퇴축술 도중 심정지 발생 피부과의원에서 종아리근육퇴축술 시행 환자는 종아리성형인 종아리근육퇴축술을 받기 위해 피고 피부과의원에 내원해 오후 2시 경 수술실에 입실했다. 피고 의원 의료진은 오후 3시 7분 경 환자에게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부착하고 관찰하면서 수면마취 유도를 위해 프로포폴 10cc를 정맥에 주입했다. 이후 프로포폴 40cc, 케타민 0.5cc가 섞인 수액을 시간당 40cc로 투약했다. 마취 도중 심정지 발생 그런데 오후 3시 23분 경 환자에게 부착한 산소포화도 측정기에서 알람이 울렸다. 그러자 피고 의사는 수액 주입을 중단하고 에피네프린 1cc를 투약한 후 앰부배깅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했다. 이후 피고 병원의 연락을 받고 119 구급대가 오후 3시 38분 경 도착했고, 3시 49분 경 S대학병.. 2022. 5. 21.
프로포폴 수면마취 종아리퇴축술 하면서 활력징후 감시의무 위반 프로포폴로 유도되는 수면마취 상태는 전산마취 상태와 명확히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시술 중 투여되는 용량에 따라 얕은 진정상태에서 중등도의 진정상태, 깊은 진정상태, 전신마취 상태의 연속선상에서 수면마취 상태가 수시로 변합니다. 이번 사건은 종아리퇴축술 도중 환자가 뇌손상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시술 과정에서 활력징후 감시 등 주의의무 위반 여부가 쟁점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피고가 운영하는 의원에서 종아리를 갸름하게 하는 종아리퇴축술을 받았는데요. 종아리퇴축술이란? 미용 목적으로 종아리근육을 퇴화시켜 결과적으로 종아리를 가늘어지게 하는 시술입니다. 종아리 근육에는 내부의 비근과 외부의 비복근이 있는데, 일반인의 경우 비복근이 없더라도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는 점에 착안해 비복근을 퇴화시키는 시술법입.. 2020. 10.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