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방흡입술11 지방흡입술 부작용, 의사 선택 등 알아둘 점 지방흡입술 부작용, 의사 주의의무 지방흡입술은 얼굴, 턱, 팔뚝, 복부, 옆구리, 허벅지, 종아리 등에 과다하게 축적된 지방세포를 흡입하는 수술이다. 그러나 수술 과정에서 출혈, 부종, 감염, 염증, 통증, 감각 이상, 비대칭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울퉁불퉁한 변형 등이 생기면 재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지방흡입술을 받기 전 알아야 할 점들 지방흡입술 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을 맡은 의사는 아래와 같은 주의의무를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가. 시술 전 성실하게 검사할 의무 지방흡입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전에 심전도 검사, 초음파 검사, 혈액검사 및 맥박, 체온 등 활력징후 확인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실시해 수술에 적합한 전신 상태인지 확인한 후 수술해야 한다. 또한 환.. 2024. 2. 17. 지방흡입수술 후 기침, 호흡 곤란 증상 있다면 지방흡입술 후 지방색전증, 성인호흡곤란증후군 발생 지방색전증(Fat Embolism)은 몸에서 떨어져 나온 지방 덩어리가 폐의 미세혈관이나 뇌의 미세혈관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골절이나 지방과 관련한 시술을 할 때 폐, 뇌, 심장 및 신장 등에서 광범위하게 색전증을 초래해 급격한 호흡 장애를 비롯한 중증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호흡 곤란, 심박 항진, 고열과 뇌 기능 장애로 인한 두통, 불안, 정신 혼탁, 혼수 등이다. 드물게 객혈과 폐부종이 나타나기도 한다. 아래 사례는 성형외과에서 지방흡입술을 한 뒤 호흡곤란이 발생해 검사한 결과 지방색전증, 성인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해 치료했지만 후유증이 남은 사안이다. 지방흡입술 후 호흡 곤란 증상 K는 E 성형외과에서 상체 지방흡입수술과 안면 지방이식.. 2023. 10. 21. 지방흡입술 후 신경 손상, 구축, 흉터 지방흡입술 수술후 구축, 흉터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지방흡입술을 시행한 이후 시술 부위 통증을 호소해 봉합부위 소독, 약물치료 등을 시행했지만 겨드랑이 구축, 흉터 등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지방흡입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겨드랑이 부위를 과다하게 절개하는 등 시술상 과실이 있는지, 시술 후 경과관찰 과정에서 과실을 초래했는지, 시술에 앞서 설명의무를 위반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지방흡입술 후 부작용 발생 사건의 개요 A는 D병원에서 양쪽 팔 부위 리프트 및 지방흡입술을 받았다. 시술 당시 D병원 의사는 전신마취 아래 환자의 양쪽 겨드랑이(액와부)를 절개한 후 TLA 용액을 투입해 1,000cc 가량의 지방을 흡입했다. 그리고 늘어난 팔 부위를 들어 올리는 시술(arm lift)를 한.. 2022. 9. 19. 지방흡입 시술방법과 실제 부작용 발생 사건 지방흡입시술 사건의 쟁점 가. 지방흡입 시술 방법 지방흡입술은 국소적으로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흡입해 제거하는 수술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절개 부위를 통해 캐뉼러를 이용해 습윤용액을 피부 밑 지방층에 주입한 다음 캐뉼러를 피부 및 지방층으로 찔러 넣고 지방을 흡인하는 방법으로 시행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근막 손상이 일어나거나 장기가 천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흡입술의 전신적인 합병증은 정맥혈전증, 저체온증, 국소마취제의 전신 독성, 심혈관 부작용, 감염, 패혈증, 복막 천공, 복강내 장기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국소적인 합병증은 혈종, 장액종, 울퉁불퉁한 피부, 피부 괴사, 피부 감각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소장이 천공된 경우 복통과 발열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흔.. 2022. 7. 10. 지방흡입술 방법과 시술 의료과실 피고 의원에서 지방흡입술 받은 뒤 귀가 환자는 피고가 운영하는 의원에서 양팔과 복부에서 2.5l의 지방을 빼내는 지방흡입술을 받은 뒤 귀가했다. 그런데 같은 날 저녁 고열과 오한 증상이 발생했다. 지방흡입술이란? 비정상적인 비율로 축적된 피부 밑 지방층을 음압이나 초음파를 이용해 제거함으로써 몸매의 형태를 교정하는 수술 방법이다. 지방흡입술 방법은 음압지방흡입술, 동력지방흡입술, 초음파지방흡입술 등이 있다. 지방흡입술 부작용으로는 출혈이나 혈전, 감염, 피부 괴사, 체액 불균형, 심부정맥 혈전증 또는 폐색전증, 감각이상, 울퉁불퉁한 피부 표면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틀 뒤 피고 의원에 증상 호소 환자는 시술 당일 이처럼 고열과 오한 등의 증상이 있었음에도 이를 피고 의사에게 즉시 알리지 않고, 이틀 .. 2022. 4. 2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