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척수수술2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수술후 하지마비, 배뇨장애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진단 원고는 오른쪽 다리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서 제3-4 요추 추간판탈출증(디스크) 및 제5요추-제1천추간 척추관협착증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추간판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이란? 추간판(디스크)탈출증은 추간판의 손상 및 탈출로 염증이 생긴 신경근에 기계적 압박이 추가되어 경추, 흉추, 요추부 축성 통증 및 신경근 자극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척추수술 후 하지마비, 배뇨 및 배변 장애 이에 피고 의료진은 제3-4 요추 추간판절제술과 제5요추-제1천추간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했다. 그런데 .. 2022. 3. 3. 허리 마미증후군, 척수병증 수술 후 사지마비, 배뇨배변장애 등 초래 의료행위 결과 후유장애가 발생한 경우 그 증상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합병증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볼 수 있는 사정이 없는 한 그 후유장애가 발생했다는 사정만으로 의료행위 과정에 과실이 있다고 추정할 수는 없다(대법원 판결). 이번 판례는 허리 마미증후군과 경추 척수병증으로 수술을 받았지만 불완전 사지마비, 배뇨배변장애, 보행장애 등을 초래한 사건이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사건의 개요 원고는 지속적인 입원치료에도 하지 위약 등의 증상이 호전되지 않자 피고 병원에 내원했다. 피고 의료진이 검사한 결과 경추 척수신경이 눌러 척수가 소실돼 있고, 경추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였으며, 후종인대골화증 및 경추 척수병증 소견이 확인됐고, 마미증후군 및 경추 척수병증으로 진단했다. 의료진은 마미증후군 진행.. 2018. 8.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