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코성형수술4

수면마취 쌍꺼풀, 코 성형수술 환자 심정지 뇌손상 성형수술환자 심정지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성형외과병원에서 수면마취 아래 쌍꺼풀수술에 이어 코성형수술을 하던 환자가 심정지 상태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채 수술을 하다가 환자가 뇌손상 상태에 빠진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집도의인 피고인이 피해자의 저산소 상태를 적시에 인지하지 못해 응급조치를 제때 취하지 않은 업무상 과실이 있는지, 진료기록부를 사실과 다르게 허위로 기재해 의료법을 위반했는지 여부다. 수면마취 아래 성형수술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수면마취 상태인 피해자의 산소포화도가 90% 이하로 떨어지고 뇌로 가는 산소가 5분 이상 공급되지 않을 경우 피해자는 회복할 수 없는 뇌손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화면을 잘 살피고 산소포화도가 90% 이하로 떨어질 경우 기도 확보, 10.. 2022. 9. 30.
코성형, 유방성형 쉽게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 원고의 코 수술 경위 원고는 성형외과 의사인 피고로부터 4월 21일 낮은 콧대를 높이는 코 융비술(1차)을 받았다. 그런데 5월 2일부터 코에 염증이 발생했고, 피고는 원고에게 항생제를 처방한 뒤 염증 부위를 세척하는 등의 처치를 했다. 이어 5월 19일 코 실리콘 교체술을, 6월 8일 코 실리콘 제거술을, 6월 14일 코 연골 제거술을 시행했다. 그런데 이후에도 다시 코 부위에서 염증이 재발해 다음 해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피고 성형외과에서 염증 치료를 받았다. 원고는 11월 3일 피고로부터 2차 코 융비술을 받았다. 원고는 2차 수술 이후 다시 염증이 재발해 다음해 2월 10일 코 실리콘 및 연골 제거술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4월 10일에는 C성형외과에서 코의 염증 제거 및 귀 연골을 .. 2021. 11. 20.
코성형수술 리도카인 약물과민반응으로 심정지 발생해 뇌손상 리도카인 국소 마취 효과와 부정맥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 리도카인은 신경자극 전달에 필수적인 전해질 통로를 차단한다. 결과적으로 신경자극 시작 및 전달에 필요한 전해질을 차단하여 신경막을 안정화시키고 신경자극이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여 마취 효과를 나타낸다. 환자를 무의식 상태로 만드는 전신마취제와는 달리, 신체의 일부에만 제한적으로 국소 마취 효과를 보인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이번 사건은 코성형수술 위해 리도카인 투여하자 약물 과민반응으로 심정지 발생해 저산소성 뇌손상을 초래한 사례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코성형 재수술을 받기 위해 피고 성형외과에 내원했고, 피고는 모비놀, 미다졸람, 케타민을 투여해 수면마취를 유도한 뒤 코 부위에 리도카인과 .. 2018. 12. 3.
코성형 재수술 후 코연골 소실, 염증, 구축현상 초래 코 성형수술후 4차례 재수술 후 코연골 소실, 염증, 코 구축현상을 초래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성형외과에서 코 성형수술을 받았으나, 수술 이후 코 앞부분이 위로 들려 보여 다른 병원에서 재수술(2차 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2차 수술 이후에도 코 연골이 빠지는 등 결과가 좋지 않자, 피고를 찾아가 재수술에 관한 상담을 받고 세 차례에 걸쳐 코 재수술을 받았다. 원고는 현재 코연골 소실과 염증 등으로 인하여 심각한 코 구축현상이 발생하였고, 콧등 부위 피부가 괴사되어 농이 배출되는 2개의 구멍이 있는 상태다. 법원의 판단 일반적으로 코 성형시 이식물에 의한 염증 발생률은 첫 수술보다 재수술이 높고, 재수술을 하는 경우 처음 수술의 방법과 현재의 상태,.. 2017. 1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