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탈장4 고령, 고혈압 있다면 내시경검사 전 주의할 점 내시경검사 과정 응급상황 발생 사례 P는 9월 14일 F 내과의원에서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던 중 대장천공이 발생해 곧바로 G 병원으로 이송되어 복강경으로 봉합하는 수술을 받았고, 수술 직후 급성 합병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자 퇴원했다. P는 9월 19일 좌측 사타구니(서혜부)에서 장폐색을 동반한 탈장이 발생했다. 장폐색은 장기 특히 소장이 완전히 막혀 음식물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그런데 9월 23일에는 사타구니 부위 탈장이 재발한데 이어 장폐색, 흡인성 폐렴, 심정지 등으로 악화되어 심폐소생술을 받고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지만 안타깝게도 며칠 뒤 사망하고 말았다. G 병원이 작성한 사망진단서에는 대장 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막염에 의한 복압 증가로 인한 장 유착 및 탈장, 이로 인한 장폐색, 흡.. 2024. 3. 29. 복부지방흡입술 잘못 받으면 평생 후회한다 이번 사건은 의사가 복부지방흡입술을 하는 과정에서 복벽의 근막 등을 손상하거나 천공, 괴사 등으로 복막염을 초래해 수 십 차례 수술을 한 사례입니다. 이 같은 의료사고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방흡입술을 받기 전에 의사의 시술 경험이 많은 지, 시술로 인해 어떤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꼼꼼하게 확인한 후 신중하게 시술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상담을 받은 뒤 복부지방흡입술을 받기로 했습니다. 피고는 약 2시간에 걸쳐 복부지방흡입술을 마쳤는데요. 원고는 수술 후 복부에 심한 통증을 호소했고, 피고는 원고가 진통제를 투여하고도 통증을 호소하자 복막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E병원으로 전원 했습니다. 원고는 E병원에 도착한 직후 복부 CT 검사를 한 결과.. 2021. 5. 20. 사타구니탈장에 대해 응급 탈장수술을 지연해 난소난관 절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5. 11. 횡격막 탈장 의심소견 있었지만 진단 못한 의료과실 복부 통증, 발열 소아를 x-ray 촬영하면서 횡격막 탈장 의심소견이 있었지만 진단 못해 저혈량성 쇼크로 사망.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복부 통증으로 피고 1병원 응급실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복부 통증으로 진단한 후 관장 및 정장제를 처방했다. 환자는 3일 후 경과를 관찰하기 위해 피고 1병원 소아과에 내원했고, 의료진은 위장관계질환으로 진단한 후 변비약을 처방했고, 8일 후 다시 복부 통증으로 내원했을 때에는 비특이적 변비로 진단한 후 글리세린관장을 했다. 환자는 그 날 자정 무렵 복부 통증, 발열 및 비정상적인 호흡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피고 3병원 소아응급센터를 내원했고, 의료진은 급성 충수돌기염, 급성 위장관염, 당뇨병성 케톤산증, 긴장성 기흉 및 혈흉 소견.. 2017. 4.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