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폐색전증17 호흡곤란, 발열 등 혈전증 증상 검사 안 한 의사 골절수술 후 혈전증 증상과 의사의 주의의무 심부정맥혈전증은 오랜 기간 침대에 누워 있거나 외상을 입었거나 악성 종양 등 혈전이 생기기 쉬운 상황에서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떨어져 나온 혈전이 우심방,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흘러가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부정맥 혈전증 증상은 피부색의 변화, 갑작스러운 다리 부종, 걸을 때 장딴지 통증 등이 생기면 의심해 볼 수 있다. 폐색전증은 갑자기 시작된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빠른 맥박(빈맥), 미열, 목정맥의 확장 등이 전형적인 징후이다. 심부정맥혈전증 또는 폐색전증은 수술 후 오랜 기간 침상에 누워 있어 움직임이 제한될 때 발생 가능성이 높다. 아래 사례는 골절 수술을 받고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던 중 발.. 2023. 10. 10. 자궁근종 자궁경, 개복 무리한 수술 판단 기준 자궁근종 자궁경 이어 개복 무리한 수술 분쟁 임신을 고려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궁근종 자궁경 수술은 자궁 안에 돌출되어 착상을 방해하는 점막 아래 근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자궁근종 개복수술은 자궁 뒷벽과 앞벽에서 내막을 눌러 착상과 임신 유지를 방해하는 근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아래 사안은 자궁근종으로 자연 임신이 어렵다는 진단에 따라 자궁경 수술과 개복 수술을 잇따라 받았는데 개복 수술 후 배액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관이 끊어져 배 안에 남아있는 배액관을 제거하기 위해 개복 수술을 추가로 한 사례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자궁경 수술을 한 지 1년도 경과하지 않은 시점에서 무리하게 개복수술을 했는지, 의료진이 개복 수술 후 배액관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한 것을 과실로 볼 수 있는 지다.. 2023. 7. 31. 고혈압, 비만환자 수술 후 혈전 폐색전증 주의 고혈압환자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혈전 폐색전증 발생 고혈압이나 당뇨, 비만 환자는 폐색전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이런 질환이 있는 환자를 수술할 때에는 혈전으로 인한 폐색전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다해야 한다. 이번 사건은 고혈압, 비만 환자가 무릎인공관절수술 후 심정지가 발생해 심폐소생술 등을 시행한 뒤 폐동맥 색전증으로 사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에게 폐색전증 발생 위험이 높았는지, 의료진이 폐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했는지, 의료진이 응급조치를 적절하게 취했는지 여부다. 패색전증 폐동맥은 혈액이 온몸을 순환해 심장으로 돌아온 정맥혈을 폐로 내보내는 혈관이다. 폐색전증은 심부정맥에서 혈액이 부분적으로 응고된 덩어리인 혈전이 혈관을 타고 이.. 2022. 10. 11. 치매환자 신체억제대 강박지침 위반 사건 치매환자 억제대 사용후 폐색전증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치매환자가 병원에 입원해 10여일간 연속으로 신체 억제대를 사용한 후 폐색전증으로 사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치매환자에게 신체 억제대를 사용한 의료기관이 강박 과정에서 정기적인 활력징후 확인, 혈액순환 확인 등 지켜야 할 주의의무를 다했는지 여부다. 보건복지부 격리 및 강박(seclusion and restraint) 지침 주요내용 보건복지부는 의료기관이 환자의 인권과 안전이 보장된 가운데 제한적인 범위에서 격리 혹은 강박을 하도록 지침을 시행하고 있다. 다음은 격리 및 강박 지침 주요 내용이다. (1) 적용 대상은 △자해 또는 타해 위험이 있는 환자 △치료 프로그램이나 병실 환경을 심하게 훼손할 우려가 있는 환자 △환자의 동의 아래 행.. 2022. 8. 27. 출산후 저혈압, 폐색전증 응급조치상 과실 치명적인 폐색전증 폐색전증은 심부정맥(다리에 위치한 깊은 부위의 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우심방, 우심실을 경유해 폐동맥을 막아서 생기는 질환이다. 정맥혈전은 혈행이 지체될 때 잘 발생하기 때문에 대부분 좌우 심실부전을 초래하는 심장질환, 만성 폐질환, 수술 등으로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는 환자나 비만이 있으면 합병증으로 발생하기 쉽다. 젊은 여자의 경우 임신 말기와 출산 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급성 폐색전증은 적지 않은 사망률을 보이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중증 폐색전증이 발생해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 환자가 사망할 가능성은 30% 정도에 이른다. 저혈압 치료상 의사의 주의의무 환자가 저혈압 증상을 보일 때에는 신속하게 혈압상승제를 투여해 정상 .. 2022. 8. 7.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