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소판감소증7 골수이형성증후군 생검, 객혈 처치 과실 골수이형성증후군 생검, 객혈 처치와 의사 과실 골수이형성 증후군은 불응성 골수 이형성 빈혈로도 알려져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급성 백혈병으로 이행할 수 있는 혈액 질환군이다. 아래 사안은 골수이형성증후군 진단에 따라 항암제를 투여하고, 침 생검을 한 뒤 객혈 증상을 보이다 사망에 이른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침 생검 조직검사 조건에 맞았는지, 침 생검 과정에서 과실은 없었는지, 침 생검 후 환자가 객혈 증상을 보인 상황에서 처치가 적절했는지, 설명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는지 여부다.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침 생검 후 사망 사건 환자는 발열, 오한, 설사 등의 증상이 있어 항생제 등의 치료를 받았지만 고열이 호전되지 않자 D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환자에게 혈소판 감소 증상이 있자 골수검사.. 2023. 8. 29. 주산기 가사 신생아 뇌성마비, 발달장애, 사지경직 분만 직전 임신성혈소판감소증 진단 산모는 원고를 임신한 후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받았는데 임신 35주 2일째 혈액검사에서 혈소판감소증으로 진단 받아 피고 병원으로 전원했다. 산모는 유도분만을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는데 당시 산모의 혈소판 수치가 85,000/μL로 학인되어 피고 병원은 임신성혈소판감소증을 동반한 임신 39주 6일의 임산부로 진단했다. 또 피고 병원은 신체검진을 실시해 고혈압, 당뇨 여부, 태아 심박동수 등을 확인했는데 특이사항이나 이상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분만 직후 아프가점수 6점으로 신생아 가사 분만 당시 신생아인 원고는 신체조건에는 특이사항이 없었지만 울음과 움직임이 거의 없어 의료진이 산소를 흡인시키고, 신생아실로 데리고 갔다. 원고의 아프가 점수는 출생후 1분 5점, 5분 6점.. 2022. 6. 20. 혈소판 감소증,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뇌출혈 진단 지연 과실 혈소판 감소증 진단 환자는 빈혈로 치료를 받았고, 혈소판 감소증, 골수이형성증후군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4개월 뒤 비장 파열이 발생해 병원에서 비장동맥에 대한 색전술을 받았지만 호흡 곤란, 전신 부종 등으로 4월 23일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환자는 내원 당시 호흡 곤란, 복부 통증을 호소했고, 전신 부종, 복부 팽만, 출혈 등이 관찰되었다. 비장절제술 후 출혈 지속 골수검사 결과 만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었고, 의료진은 지혈제 처방과 함께 카테터를 이용한 배액술을 실시했다. 의료진은 6월 5일 복강경하 비장절제술을 시행했고, 이후 수술 부위에 출혈이 지속되고 호흡 곤란, 복부 통증 등을 호소했다. 이에 7일 개복을 통해 출혈조절술을 실시했으며, 상태가 호전되어 일반 병실로 전실했다. .. 2022. 6. 13. 골수검사 과정에서 동맥파열 이번 사건은 대학병원 전공의가 소아 골수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총장골동맥을 파열시켜 사망에 이르게 해 업무상과실치사죄로 재판에 넘겨진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해당 전공의에게 수혈 준비 과정, 골수검사 과정에서 업무상 과실이 있는지, 담당 교수가 전공의를 지휘 감독하는 과정에서 업무상 과실이 있는지 여부입니다. 공소사실의 요지 피고인 박모 교수는 A대학병원 소아과 교수로, 생후 6개월 된 피해자의 선택진료의사이자 주치의이며, 피고인 김모 전공의는 당시 위 병원에서 전공의 3년차로 근무했던 의사이다. 피해자 발열 등의 증상이 있어 병원에 입원해 혈액검사를 받았는데 검사결과 헤모글로빈 7.6g/dl, 혈소판 50,000/μL으로 확인됐다. 이에 빈혈, 혈소판감소증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A대학병원 응급.. 2020. 10. 13. 폐렴환자의 혈흉을 확인하지 못한 의료과실 중심정맥관삽입술 후 혈흉.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기각 환자는 피고 병원 응급실에서 간질성 폐렴 진단을 받고 입원했는데 다음날 발열, 설사, 구토 증상을 보였다. 또 ABGA검사 및 혈액응고검사를 한 결과 심한 대사성 산증, 혈액응고장애, 혈소판 감소증 소견을 보였다. 의료진은 환자의 호흡곤란이 지속되자 기관삽관을 한 후 중환자실로 전실해 급성신부전증에 대해 대퇴정맥에 혈관로를 확보해 혈액투석(신대체요법)을 했다. 또 우측 쇄골하 부위에 중심정맥관 삽입술(이 사건 시술)을 시도했지만 실패해 30분간 압박하고 모래주머니를 대줬다.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이라 말초 정맥을 통해 중심정맥까지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몸 속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중심정맥에 직접적으로 주사를 놓거나 채혈을 하는 것은.. 2017. 10.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