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혈액응고검사3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술 받고 쇼크 사망한 사건 과거 8년 동안 루푸스 질환을 앓고 있던 환자가 척추관협착증, 퇴행성 요추후만증, 추간판탈출증 등으로 수술을 받은 뒤 사망한 사건에서 수술 직전 혈액응고검사를 하지 않았고, 수술 5일 전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지 않은 게 과실인지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환자는 피고 병원 류마티스내과에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진단을 받아 약물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7년 뒤 요통과 양하지로 뻗치는 방사통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MRI 검사 결과 제3-4-5 요추간 척추관 협착증 및 퇴행성 요추 후만증, 제4-5 요추간 추간판 탈출증 소견이 관찰됐고, 수술을 위해 내분비내과 및 류마티스내과에 협진을 의뢰했다. 이에 대해 류마티스내과 의료진은 평소 복용하고 있던 아스피.. 2018. 10. 12. 제왕절개수술 중 산후출혈을 진단 치료하지 못한 의료과실 제왕절개수술후 태반조기박리 증상과 혈액응고검사 결과 수치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하고도 산후출혈을 조기에 진단하지 못한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01:02경 진통이 발생하여 원고 병원 분만실에 입원하였다. 원고 병원 의료진은 01:16경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검사를 하였는데 혈액응고검사는 기계 오작동으로 시행하지 못하고 같은 날 08:34경 다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하였고 같은 날 09:15경 결과가 나왔다. 한편 산부인과 의료진은 08:30경 120~160회를 유지하여야 하는 태아의 심장박동수가 80회까지 떨어지자 태아곤란증 등 태아의 건강을 우려하여 응급 제왕절개수술을 하기로 결정하고 09:35경 분만했는데 수술 중 태반조기박리 증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2017. 11. 14. 종양제거수술 후 혈흉…출혈부위 혈관조영술 의한 색전술 안한 과실 어깨뼈 부위 종양제거수술 후 혈흉…즉시 혈관조영술에 의한 색전술을 시행하지 않은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원고는 양쪽 견갑골 부위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일을 많이 한 날에는 통증이 심해 잠을 이룰 수 없다며 피고 병원에 내원하였다. 이에 의료진은 원고에게 방사선촬영 및 초음파검사를 실시한 결과 견갑골 부위의 탄성 섬유종 의증, 양측성 지방종 의증으로 진단하였다. 원고는 전신마취 아래 탄성섬유종 제거수술을 받았고, 수술후 회복실로 옮겨진 직후부터 수혈, 수액 및 승압제 도파민 투여를 시작하였고, 수술 부위에 대한 압박지혈을 실시하였다. 이 사건 수술 이후 원고에 대해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을 투여했지만 혈압이 상승하지 않자 중환자실로 이송한 후 혈액.. 2017. 4.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