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이야기

백내장, 도수치료, 하지정맥류 등 비급여 검색방법

by dha826 2022. 12. 13.
반응형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22년도 기준 전국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용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www.hira.or.kr) 모바일 앱 건강e에 공개했다.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제도란?

비급여 진료비용은 의료기관이 자율적으로 받을 수 있어 의료기관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의료기관을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용 항목

(1) 비급여 진료비용 547개 항목

상급병실료 교육상담료 검체검사료 병리검사료 기능검사료 내시경, 천자 및 생검료 초음파검사료 영상진단 및 방사선 치료료 MRI 주사료 이학요법료 정신요법료 처치 및 수술료 모발이식술료 시력교정술료 치과처치 및 수술료 한방검사료 한방시술 및 처치료 치과 보철료 예방접종료 치료재료 보장구

 

 

(2) 제증명 수수료 31개 항목

일반진단서(일반/건강/근로능력평가용) 사망진단서 장애 정도 심사용 진단서(신체적/정신적) 후유장애 진단서 병무용 진단서 국민연금 장애심사용 진단서 상해진단서(3주 미만/3주 이상) 영문진단서 확인서(입퇴원/통원/진료) 출생증명서 시체검안서 장애인 증명서 향후 진료비 추정서(천만원 미만/천만원 이상) 사산(사태) 증명서 입원사실증명서 채용신체검사서(공무원/일반)

 

의료기관 별 비급여 진료비 차이 얼마나?

(1) 백내장수술 다초점렌즈

 

의료기관에 따라 비용이 크게 차이가 난다. 상급종합병원 안에서도 가장 싼 곳은 435천원인 반면 가장 비싼 곳은 312만원에 달한다.

 

종합병원은 최저가가 435천원, 최고가가 653만원, 병원은 최저가가 33만원, 최고가가 581만원, 의원은 최저가 25만원, 최고가가 900만원이다.

 

(2) 도수치료

 

도수치료 중간금액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이 5850, 종합병원이 650, 병원이 8만원, 의원이 10만원으로 의원이 더 비싼 편이다.

 

의료기관의 도수치료 비급여 비용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의 최저가는 15197, 최고가는 174천원, 종합병원의 최저가는 3천원, 최고가는 28만원, 병원의 최저가는 3천원, 최고가는 50만원, 의원의 최고가는 50만원으로 나타났다.

 

(3) 자기공명유도하 하이푸시술

 

의료기관 종별 최저가를 보면 상급종합병원이 298만원, 종합병원이 200만원, 병원이 580만원이다.

 

평균 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298만원, 종합병원이 423만원, 병원이 706만원으로 집계되었다. 시술 부위 크기와 개수 등 난이도에 따라서도 가격 차이가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4) 초음파 유도하 하이푸시술

 

이 역시 의료기관에 따라 가격차이가 크다. 시장 평균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430만원, 종합병원이 392만원, 병원이 786만원, 의원이 1114만원 등으로 조사되었다.

 

의료기관 종별 최저금액과 최고금액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이 315만원~541만원, 종합병원이 200만원~600만원, 병원이 200만원~220만원, 의원이 299만원~25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 시술 역시 시술 부위 크기, 개수 등 난이도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다.

 

(5) 비밸브재건술

 

시장 평균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144만원, 종합병원이 143만원, 병원이 203만원, 의원이 224만원 선이다.

 

의료기관 종별 최저금액과 최고금액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이 25만원~269만원, 종합병원이 20만원~300만원, 병원이 30만원~400만원, 의원이 10만원~2000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6) 하지정맥류 수술

 

하지정맥류 수술은 시술 방법에 따라 최저금액은 5만원, 최고금액은 990만원으로 차이가 심하다.

 

따라서 하지정맥류 수술이 필요한 분은 각 시술방법의 차이, 시술방법의 장단점, 각 시술방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 각 의료기관 별 비용 차이 등을 충분히 숙지한 뒤 시술방법과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게 현명하다.

 

(7) 증식치료

 

증식치료 평균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6만여원, 종합병원이 5만여원, 병원이 9만여원, 의원이 7만원 대다.

 

의료기관 종별 최저금액과 최고금액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이 1만원~30만원, 종합병원이 5천원~50만원, 병원이 5천원~230만원, 의원이 1백원~100만원 등으로 조사되었다.

 

(8) HPV 백신(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의료기관 종별 평균금액을 보면 상급종합병원이 17만원 선, 종합병원과 병원, 의원이 18만원 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최저와 최고 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56천원~24만원, 종합병원이 69천원~29만원, 병원이 7만원~32만원, 의원이 8만원~30만원으로 차이를 보였다. 백신 종류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9) 약침술

 

약침술의 의료기관 종별 평균금액은 종합병원이 1만원대, 병원이 2만원대, 한방병원이 3만원대, 한의원이 1만원 대로 비교적 가격차이가 적다.

 

의료기관 종별 최저, 최고금액을 보면 종합병원이 2천원~12만원, 병원이 3천원~50만원, 한방병원이 3백원~40만원, 한의원이 0~100만원 등이다. 약침 종류, 용량, 시술 부위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0) 유도초음파 검사료

 

유도초음파 검사료 평균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22만원, 종합병원이 15만원, 병원이 11만원, 의원이 14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최저, 최고금액은 상급종합병원이 2~125만원, 종합병원이 1만원~96만원, 병원이 5천원~150만원, 의원이 5천원~300만원으로 금액차가 크다. 유도초음파를 이용하는 시술의 종류, 난이도 등에 따라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급여 진료비용 확인방법

 

먼저 심평원 홈페이지 하단 비급여 진료비 정보를 클릭한 뒤 의료기관 선택 선택 결과 담기 담은 결과 확인 절차를 거치면 된다.

 

또 담은 결과 확인에서 의료기관간 도수치료 가격 등을 비교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한 의료기관에서 진료하는 전체 비급여 공개항목 정보도 찾아볼 수 있다.

 

비급여 진료를 하기 전에 유의할 점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비급여 진료비용은 의료기관에 따라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을 이용하기 전에 의료기관간 비용을 비교 검색해 사전에 파악해 두면 유익하다.

 

또한 비급여 진료비용을 파악하는 것 못지않게 해당 시술을 어떤 의사가 하는지, 해당 의사의 전문과목이 무엇인지, 시술 경력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파악한 뒤 시술을 받을지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길 권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