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골반과 허벅지 뼈(대퇴골)가 만나는 부위를 고관절 또는 엉덩이 관절이라고 한다.
그런데 고관절이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류마티스(류머티즘) 관절염, 고관절 골괴사(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고관절 골절, 선천적 혹은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 고관절 종양 등이 심해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적 방식으로 치료할 수 없으면 불가피하게 인공관절수술을 해야 한다.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비용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비용에 들어가는 비용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비용은 환자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중 어디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경우 행위료에 종별가산율이 추가되기 때문인데, 종별가산율은 상급종합병원 15%, 종합병원 10%, 병원 5%이다. 의원은 종별가산율이 없다.
다음은 2024년 병원을 기준으로 고관절 인공관절치환술 건강보험 수가를 정리한 것이다.
고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의 기본 수술 수가는 79만 9,120원이며, 복잡 기준에 해당하면 127만 6,360원이다.
고관절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62만 1,880원, 이 중 복잡기준은 76만 7,510원의 건강보험 수가가 적용된다.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재치환술을 받을 경우 115만 5,180원이며, 복잡기준이 142만 6,280원이다. 여기에 재치환술 중 삽입물을 제거하거나 복잡 기준에 해당하면 약 60만 원에서 70만 원의 건강보험수가가 추가된다.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부분재치환술도 마찬가지 기준이 적용된다. 부분재치환 건강보험수가는 80만 8,290원이며, 복잡기준이면 100만 7,850원이다. 여기에 삽입물을 제거하거나 복잡 기준에 해당하면 약 53만 원에서 62만 원의 수가가 추가로 반영된다.
수술비 외에 들어가는 비용도 적지 않다. 기본적으로 진찰료, 입원료, 식대, 투약 및 조제료, 주사료, 수술 마취료, 검사료, CT 등 영상진단료, 치료재료대, 재활 및 물리치료 등의 비용이 추가로 들어간다.
진료비 총액과 본인부담금
수술비 등을 모두 감안한 진료비 총액은 얼마나 될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2만 7,557명이 입원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을 받았다. 입원환자 1인당 진료비는 86만 원이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진료비에는 건강보험공단 부담금과 환자 본인부담금이 모두 포함된 금액이다. 따라서 입원에 대한 환자 본인부담률을 20%로 계산하면 1인당 평균 본인부담금은 17만 2천원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비용은 전치환술이냐, 부분치환술이냐, 어떤 의료기관에서 받느냐, 입원을 얼마나 하느냐, 어떤 병실에 입원하느냐, 어떤 치료재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다. 따라서 1인당 평균 본인부담금은 참고 자료로 생각하면 된다.
실손의료비 청구
만약 환자가 실손의료비보험에 가입해 있다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비용은 보험금으로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수술에 앞서 보험사에 정확한 보험 혜택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좋아요(♡), 구독을 눌러 주세요. 인공관절수술 경험이 있거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의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집진드기 면역치료 비용 (2) | 2024.11.19 |
---|---|
추나요법 종류, 건강보험 및 비급여 비용 (1) | 2024.11.18 |
우울증 치료 잘하는 정신건강의학과 (4) | 2024.11.15 |
관절염 줄기세포 주사치료 비용, 유의할 점 (1) | 2024.11.14 |
프롤로 인대강화 증식주사 비용, 유의할 점 (4) | 2024.11.13 |